earticle

논문검색

김억의 와카(和歌) 번역 텍스트 연구 : 「殉難遺珠」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Kim Eok’s Translations of Waka : Focusing on Zyunanyuizyu

김억의 와카(和歌) 번역 텍스트 연구 : 「순난유주」를 중심으로

박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im Eok released various translations of wakas (a form of Japanese poetry) including the abridged translation of ‘Mannyousyu’,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 Korean Translation’ and ‘Zyunanyuizyu’ which translated wakas on patriots during the late Bakuhu period into Korean. Even though there were some previous studies on the abridged translation of ‘Mannyousyu’ and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 Korean Translation’, it wasn’t able to find any information on ‘Zyunanyuizyu’.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irst investigated Zyunanyuizyu, one of Kim Eok’s translations of waka. When the Pacific War was in full swing, Kim Eok translated a total 55 wakas into Korean from September 1943 to March 1944. This study investigated ‘Zyunanyuizyu’ which was published with its original poem. ‘Zyunanyuizyu’ is the Korean translation of waka which described patriots during the late Bakuhu period. The purposes of the transl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predictable from the title ‘Zyunanyuizyu’, Kim Eok wanted to plant the patriots who dared to die for their nation during the late Bakuhu period and their wakas in the colonial Joseon. Second, according to Yanabe Eisaburo (Chairperson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s preface which appeared in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n Korean Translation’, he intended to promote Hwangguk Sinminhwa and spread Japanese across the country.

한국어

일제강점기하 식민지 조선에서 김억은『만엽집』을 발췌・번역한「万葉集鈔譯」,『愛国百人一首』를 완역한「鮮訳愛国百人一首」, 막부 말기 우국지사로 미화된 인물들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긴「殉難遺珠」와 같은 와카 번역 텍스트를 연달아 발표했다.「万葉集鈔譯」과「鮮訳愛国百人一首」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다소 있었지만,「殉難遺珠」에 대해서는 전무한 상태였다. 이글은 김억의 와카 번역 텍스트인「殉難遺珠」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한 최초의 글이라는 점에서 우선 그 의의가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대동아전쟁이 한창이던 1943년 9월부터 다음해인 1944년 3월까지 6회에 걸쳐 김억이 총 55수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긴 후, 와카 원문과 함께『半島の光』에 연재했던「殉難遺珠」라는 와카 번역 텍스트를 고찰했다.「殉難遺珠」는 김억이 막부 말기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한 것인데, 그 번역 의도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殉難遺珠」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김억은 일본 역사상 국가의 위기 및 국난 상황에 의로이 죽기를 각오한, 유명하지는 않지만 훌륭한 막부 말기의 애국지사로 칭송되는 인물들과 그들이 남긴 와카를 식민지 조선에 이식하고 싶었다. 둘째, 단행본『鮮譯愛國百人一首 附憂國遺珠』에 실려 있는 조선문인보국회 회장이었던 야나베 에사브로의 서문과 김억 자신이 쓴 권두소언을 종합해보면, 김억은 식민지 조선에 황국신민화와 더불어 국어(國語) 곧 일본어(日本語)를 널리 보급시키고 싶었다. 김억의 와카 번역 텍스트인「殉難遺珠」에 대한 연구는 우리에게 많은 과제를 남기고 있다. 예컨대 김억이 번역할 때 참조한「殉難遺珠」의 번역 대본 문제,「殉難遺珠」와 이것을 증보한「憂國遺珠」와의 관계 문제,「殉難遺珠」및「憂國遺珠」와「鮮譯愛國百人一首」와의 관련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추후 새롭게 다루고자 한다.

일본어

植民地朝鮮で金億は『萬葉集』を拔萃・飜譯した「万葉集鈔譯」、『愛国百人一首』を完譯した「鮮訳愛国百人一首」、幕末における憂國志士の和歌を朝鮮語で訳した「殉難遺珠」といったような 和歌翻訳テクストを相次いで發表した。今まで「万葉集鈔譯」と「鮮訳愛国百人一首」についての先行硏究はあったが、一方「殉難遺珠」については皆無に等しかった。本稿は「殉難遺珠」について本格的に論じた最初の論文だったという点でその意義は少なくないと思われる。 金億の和歌翻訳テクスト「殉難遺珠」は大東亞戰爭の最中、すなわち1943年9月から翌年の3月まで6回にわたって朝鮮語で訳されたもので、ここには計55首の和歌が対訳の形で掲載されている。そして「殉難遺珠」では主として憂國志士の和歌が載せられているが、それを金億が朝鮮語で翻訳した意図は以下のようである。まず、「殉難遺珠」といった題目からうかがえるように、金億は日本歷史において國家の危機及び國難の狀況の中で死を覺悟した、有名ではないが優れた幕末の愛國志士や彼らの和歌を植民地朝鮮に植え付けたかった。 次に、『鮮譯愛國百人一首 附憂國遺珠』に掲載されている朝鮮文人報國會會長だった矢鍋永三郎の序や、金億が書いた卷頭小言を合わせたみると、金億は植民地朝鮮に皇國臣民化と共に、「國語」すなわち「日本語」を広く普及させたかった。さて、金億の和歌飜譯テクスト「殉難遺珠」に対する硏究は私たちに多くの課題を残している。たとえば、「殉難遺珠」の飜譯臺本は何だったのか、「殉難遺珠」とそれを增補した「憂國遺珠」との關係はどうなのか、「殉難遺珠」及び「憂國遺珠」と「鮮譯愛國百人一首」とはいかなる関係にあるのかといったようなものである。それらについては今後の課題としたい。

목차

Ⅰ. 머리말
 Ⅱ. 『殉難遺珠』
 Ⅲ. 왜 번역했나
 Ⅳ. 맺음말
 reference
 abstract
 일문 abstract
 영문 abstract

저자정보

  • 박상현 Sang-hyun, PARK. 경희사이버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