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일전쟁 시기 이후 조선총독부의 언어정책과 조선사회 : 일본어 “보급” 문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On Language Policies and Korean Society in the Japan-China War Period : Through the Discourse of Japanese Language Policies

미쓰이다카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of After Japan-China War so-called: "Imperialisation (Kominka)" Policy, has been understood as a one-sided assimilation process to Japanese. It will be taken for a similar image about the policy on language for the Korean, too. In fact, the strength to force Japanese on was strengthened, and there was tile movement that was going to reduce an opportunity of the use of Korean. However, it was not the measures that were realistic for the governor-general`s office "crossing out (malsal)" Korean in the situation that Japanese diffusion rate was not necessarily high in. On the other hand, it is a fact that a lot of people applied Japanese in the everyday life and vocabularies derived from Japanese spread among Korean people, Then, what would be the political and social connotation of the existence of Japanese? In this paper, I want to think about "language problem" in a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한국어

중일전쟁이 발발한 이후 ‘황민화’정책을 펼치기 시작한 조선총독부의 갱책에 대해서는 소위 일본으로의 일방적인 동화의 과정으로 이해되어 왔다. 조선에서의 언어정책에 대해서도 같은 이미지가 존재한다고 보여진다 실제 일본어를 강요하는 강도가 점차 높아져 갔고, 조선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축소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일본어 보급률이 높다고 할 수 없었던 당시 상황에서 조선총독부가 취한 대책은 현질적이었다고 보기 는 어렵다. 한편 일상생활 속에서 일본어계 어휘가 침투해 간 것도 사실이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일본어라는 존재의 정치· 사회적인 함의는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본고에서는 식민지시기 조선에서의 언어정책을 통해 ‘언어문제’를 정치 ·사회사적인 맥락에서 짚어보고자 한다.

목차

I. 머리말
 II. 제3차 조선교육령과 ‘국어’교육
  1. ‘국어’ 보급의 전망 : 조선총독부 시국대책조사회 (1938년)
  2. 병력 동원과 ‘국어'
  3. 조선어  ‘폐지’, ‘금지’ 문제
 III. 아시아ㆍ태평양전쟁 하의 ’국어 장용’ 정책과 조선어
 IV. ‘국어’의 ‘보급’이란 무엇인가 : 언어 접촉과 일본어계 어휘의 문제 
 V. ‘국어’와 조선 지식인: ‘국어’의 역기
 VI. 결론을 대신해서
 reference
 abstract
 영문abstract

저자정보

  • 미쓰이다카시 Takashi, MITSUI. 도쿄대학교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