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성립과 일본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

원문정보

日本の無形文化財保護制度に対するユネスコの無形文化遺産保護政策の影響

김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 was decided to be inscribed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the fourth session of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UNESCO held in September 2009. Since Korean farmer's dance and music whic his commonly known as the ‘Nong-ak’ have been considered as a Korean cultural heritage without a doubt, the inscription of 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 up as a Chinese cultural heritage has caused the heated debate on which country owns the culture. It is obvious that the UNESCO convention has brought on this kind of cultural war on the ownership of certain cultural heritages, which is not intended from the very purpose of the convention. In this paper I examine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cusing on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establishment of the conv ention and its contents. Secondly Japanese protection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 operties i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history, purpose and means of protection to lo ok at how the UNESCO convention has been accepted or utilized at national level. Fin ally I look into the Japanese response to the UNESCO convention focusing on the first 2008 announcement and the second 2012 announcement of the nomination of WASH OKU; Traditional dietary cultures of the Japanese 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conv ention which can be the repetition of Gastronomic meal of the French which was inscr ibed on the representative list in 2010 and implies that the first announcement by Jap anese government has been changed. By this work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irst Japanese decision was facile and overbearing which was made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about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UNESCO convention and the Japanese protection act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means the task to reconsider prudently each system has been left.

한국어

2009년 9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이하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이하 ‘보호협약’)에 기초한 제4차 정부간위원회에서 ‘조선족농악무’가 중국의 무형문화유산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중국정부는 이에 앞서 국내의 소수민족의 모든 무형문화재를 자국의 ‘비물질문화유산목록’에 게재하고 그 중에서 농악무를 포함하여 아리랑 등의 민요가 조선족의 문화유산으로 포함시켰다. ‘농악’과 ‘아리랑’은 한국의 문화라는 등식을 자명하게 받아들이고 있던 한국인은 유네스코라는 국제기관에 의해 그것이 타국의 ‘것’으로써 인정받았다는 것에 대해 상당한 분노와 울림을 감추지 못하였다. 마침 이 시기 한국과 중국 사이에는 ‘문화전쟁’이라는 격한 논의가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문화에 대한 ‘소유권’을 둘러싼 인접국구간의 갈등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정책의 초기의 목적과 이념을 크게 흔들어 놓으며 부작용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상과 같이 그 운영에 커다란 문제를 보이고 있는 유네스코에 의한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에 대해 2013년 32회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무형문화유산보호조약’을 중심으로 성립배경과 목적, 변천의 프로세스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보호 대상의 선별할 국제표준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조약이 국가 레벨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한국보다 약 12년 빨리 성립하고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의 이론적 토대로써 참조 된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에 기초하여 일본 무형문화재보호제도에 대해 검토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2008년 7월 일본 문화청에서 발표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조약에 대한 대응에 관하여’라고 표명된 일본정부의 방침이 그간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일식’을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의 대표 일람표에 제안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국가’를 하나의 공동체라고 상정하고 그 속에서 다양한 로컬 문화의 다양성을 네셔널한 생활문화를 포함하는 형태로 성립하는 ‘일식’의 제안이 글로벌한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과 네셔널한 무형문화재와의 사이에서 시사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일본어



2009年アラブ首長国連邦のアブダビで開催された第4回政府間委員会で「朝鮮族の農楽舞」が中国の無形文化遺産として「人類の無形文化遺産代表一覧表」への記載が決まった。中国政府はこれに先立って国内の少数民族のあらゆる無形文化を自国の「非物質文化遺産目録」にリストアップしており、この中には農学舞のみならず、アリラン等の民謡が朝鮮族の文化遺産として含まれた。「農楽」や「アリラン」等は韓国の文化であるという等式を自明のこととして疑わなかった韓国人たちは、ユネスコという国際機関によりそれらが他国の「モノ」としてお墨付きをもらったことに対し、驚きと怒りを隠さなかった。ちょうどこの時期から韓国と中国との間でいわゆる「文化戦争」のような激しい議論が繰り広げられることになる。このような文化の「所有権」をめぐる燐国同士の葛藤はユネスコの無形文化遺産保護政策の最初かつ究極的な目的や理念とは大きく掛け離れたところでみられる副作用といえよう。本稿は、以上のようにその運営において大きな問題を抱え始めたユネスコによる無形文化遺産保護政策について、2003年第32回ユネスコ総会で採択された「無形文化遺産保護条約」を中心にその成立の背景と目的、変遷のプロセスから探る。特に、保護すべき文化遺産を選別するグローバル・スタンダードに位置づけられ得るユネスコの無形文化遺産保護条約が、ナショナル・レベルにおいてはいかように受容されているか調べるために、韓国より約12年早く成立し、韓国の文化財保護法の理論的土台として参照された日本の文化財保護法に基づく日本の無形文化財保護制度についても検討する。注目すべきは、2008年7月、日本の文化庁から発表された「ユネスコ無形文化遺産の保護に関する条約への対応について」に表明された日本政府の方針が覆され、だれもが予想だにしなかった「和食」をユネスコの人類の無形文化遺産代表一覧表に提案したことである。本稿では、「国家」を一つの共同体と想定し、そのなかの様々なローカル文化の多様性をナショナルな生活文化の中に含み入れる形で成立する「和食」の提案がグローバルな無形文化遺産保護政策とナショナルな無形文化財との狭間で示唆するのは何かについても考えてみた。

목차

Ⅰ. 들어가기―문제제기 및 선행연구 검토―
 Ⅱ. 일본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
 Ⅲ. 유네스코와 무형문화유산
 Ⅳ. 나오기―WASHOKU 신청이 의미하는 것―
 reference
 abstract
 영문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정 Kim, Hyeon-Jeong. 일본 도호쿠대학 동북아시아연구센터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