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타 사다키치(喜田貞吉)가 표상한 <혼합민족>논리와 ‘臣民’

원문정보

喜田貞吉が表象した<混合民族>論理と‘臣民’

전성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기타 사다키치(喜田貞吉)는 차별은 역사적 조건 작용 즉 경우의 문제로서, 특히 ‘귀천’에 관한 인식도 자연스러운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 또한 과거의 ‘경우’에 의해 편제된 또 하나의 재편 논리라고 보았다. 그러한 측면에서 기타는 ‘차별’이 경우상의 재편논리가 경우의 ‘권력’에 의해 형성되는 히에라르키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통찰’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타는 더더욱 차별이라는 범주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었고, 그것을 학지의 편제라는 ‘근대적 특징’과 연동시켜 ‘과학적 학지’로 산출해 낼 필요가 있었다. 기타의 기존적 역사과인 ‘문헌’중심주의 특히 ‘고사기’와 ‘일본서기’를 읽어내는 방식으로 서술되는 ‘역사학’ 영역에 근대적 과학의 학지인 고고학적 발굴품의 해석 논리를 끌어들이면서 ‘역사학 담론 편제’에 ‘균열’을 일으키며, 새로운 학지의 개념을 정의해 가고 있었다. 이러한 기타의 인식과정은 결국 일본민족 속에 존재한 아이누와 에미시가 일본민족과 혈액으로 혼효하고 동화했다는 논리를 전개하면서도 천황이라는 정점을 제시하면서, 일본민족의 ‘정신세계’을 통한 일본을 주조해 냈다. 그와 동시에 ‘차별’적 존재로서의 동북지방의 에미시는 ‘일본민족으로 혼효되지 못한’ 이인종으로 선언했고, 천황의 은혜에 포섭되지 않는 ‘차별적 인종’으로 그려냈던 것이다. 또한 식민지 조선을 연동시켜 일본민족으로 혼효되어 천황의 ‘은혜’를 누릴 수 있는 ‘일본인’으로 빚어냈다.

일본어

喜田貞吉は‘区別’による‘差別’は近代の学問的認識の上で成立した偶然なるものだと考えた。つまり、歴史学の論理展開の中で、偶然にそのような境遇によって、差別されるようになったと考えた。ところが喜田はこのような理論を自覚していたために、この観念を作為することをも想定することができた。つまり、喜田は差別という概念を使いつつ、日本の『記紀』神話に現れてくるエミシの概念を取り出して、考古学と人類学の人種論を活用し、新しく「日本民族論」を作り出し、その延長線上で「日本臣民」論を導き出した。ここには、喜田の独特な論法が活用され、脱歴史学的な立場をとっていた。言い換えれば、喜田は既存の歴史学的認識をもちつつも、考古学的実証物の証拠とか、人種学的人種解釈の論法を「援用」していた。これはトランスポジションの思想であり、反歴史学的な見地でもあった。しかしながら、喜田は「血」の混合をもって「濃い薄い」との違いをもって、日本民族になる人種と「異種族」として残る人種の境界を再設定し、つくり直した。そのうえ、天皇の恩恵を民族を「臣民」と創出していった。これいは、差別を取り消しつつも、新しく臣民を作り出すことで、新差別を生むオリエンタリズムの眼差しが隠れていたのであろう。

목차

1. 서론
 2. 학제적 융합 학문으로서 ‘역사학’
 3. ‘주변 인종’에서 ‘일본 민족’으로
 4. ‘일본 민족’에서 ‘제국 신민’으로
 5. 결론
 reference
 abstract

저자정보

  • 전성곤 SungKon-Jun.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