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惺叟詩話』속 風格 用語를 통해 본 許筠의 ‘淸’ 系列 風格 硏究 -­ ‘淸勁’ㆍ‘淸切’ㆍ‘淸楚’ㆍ‘淸越’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Heo Gyun’s ‘Clean(Cheong: 淸)’ Kind Style Examined through Style Terminologies in Seongsushihwa(『惺叟詩話』)

『성수시화』속 풍격 용어를 통해 본 허균의 ‘청’ 계례 풍격 연구 ­- ‘청경’ㆍ‘청절’ㆍ‘청초’ㆍ‘청월’을 중심으로

尹載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clean(cheong: 淸)’ kinds of style terminologies among various style terminologies appearing in Heo Gyun’s Seongsushihwa(『惺叟詩話』) and tries to analyze the distinctive points which ‘clean(cheong: 淸)’ kinds of style terminologies include. In Heo Gyun’s Seongsushihwa, 11 of ‘clean’ kinds of style terminologies, such as “cheonggyeong(淸勁), cheonghryang(淸亮), cheongryeo(淸麗), cheongseom(淸贍), cheongso(淸卲), cheongweol(淸越), cheongjang(淸壯), cheongjeol(淸絶), cheongjeol(淸切), cheongchang(淸鬯), cheongcho(淸楚),” were used. This paper focuses and analyzes ‘cheonggyeong(淸勁)’, ‘cheongjeol(淸切)’, ‘cheongcho(淸楚)’, and ‘cheongweol(淸越)’ that he suggested through applying to real literary pieces.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s that ‘clean’ kinds of style terminologies ‘cheonggyeong’, ‘cheongjeol’, ‘cheongcho’, and ‘cheongweol’ share the same 1st character ‘clean(淸)’, yet have distinctive qualities by the 2nd characters. These 4 style terminologies all share ‘cheong(淸)’ image which means clear and clean, yet each one has the attribute of the 2nd character that indicates each one’s individual characteristic. It is apparent that ‘Cheonggyeong(淸勁)’ reflects the ‘gyeong(勁)’ image meaning upright and solid and implies poems of poets’ steadfast spirit within clear boundary; ‘cheongjeol(淸切)’ reflects the ‘jeol(切)’ image meaning either desperation and imminence or pitifulness and sorrow and implies poems of poets’ urgent and pitiful emotions within clear and clean boundary; ‘cheongcho(淸楚)’ reflects the ‘cho(楚)’ image meaning either delicacy and fineness or slenderness and tenderness and implies poems of poets’ beautiful but not luxurious, delicate and tender emotions within clear and clean boundary; and ‘cheongweol(淸越)’ reflects the image of ‘weol(越)’ meaning unworldliness and excellency and implies poems, within clear and clean boundary, of excellent appearance and mentality surpassing mundane world. Compared with the 1st character’s attributes of the style terminologies which Heo Gyun used, the 2nd characters’s attributes do not appear that vivid. Especially, in the case that the 2nd characters have similar meanings, it is not easy to clarify the categories. Indeed, in order to grasp clear and distinctive qualities of style terminologies, the kinds of them need to be initially categorized by the 1st characters, and then sorted by the 2nd characters. In this case, the contents which the 2nd characters of style terminologies indicate should be considered. It is because style terminologies explain both literary pieces’ aesthetic qualities and writers’ personalities, and because explanations about literary pieces’ aesthetic qualities includes not only the conclusive poetic or semantic boundaries which literary pieces’ created but also literary pieces’ creation processes and expression techniques. Through the style terminologies with Heo Gyun used in Seongsushihwa, it can be aware that he evaluated poems focussing more on the conclusive semantic boundaries that poets’ spirits and poems created than expression techniques or creation methods. The overall aspects Heo Gyun’s such style criticism has will be checked out in more detail through further studies by examining more materials.

한국어

이 글은 허균의 『성수시화』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풍격 용어 중‘淸’계열에 주목하여 ‘淸’계열에 해당하는 풍격 용어가 지니는 각각의 변별적 지점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허균의 『성수시화』에는 “淸勁, 淸亮, 淸麗, 淸贍, 淸卲, 淸越, 淸壯, 淸絶, 淸切, 淸鬯, 淸楚” 등 ‘淸’계열의 풍격 용어가 모두 11종류 사용되었는데, 이 글에서는 실제 작품을 거론하여 그 풍격을 제시한 ‘淸勁’, ‘淸切’, ‘淸楚’, ‘淸越’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성수시화』에 나오는 ‘淸’계열의 풍격 용어 ‘淸勁’⋅‘淸切’⋅‘淸楚’⋅‘淸越’은 모두 제1자인 ‘淸’의 이미지를 공통 속성으로 하면서도 제2자에 의해 구분되는 변별적 자질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4개의 풍격 용어들은 모두 맑고 깨끗함을 뜻하는‘淸’의 이미지 속에 각각의 개별적 특성에 해당하는 제2자의 속성을 두었다.‘淸勁’은 강직하고 굳셈을 의미하는‘勁’의 이미지를 투사하여 맑은 시의 경계 속에 강직하고 굳건한 시인의 기상이 엿보이는 시를 뜻하고, ‘淸切’은 절박하고 절실함, 또는 애처롭고 서러움을 의미하는‘切’의 이미지를 투사하여 맑고 깨끗한 시의 경계 속에 절박하고 애처로운 시인의 정서를 담고 있는 시를 뜻하며, 淸楚’는 여리고 고움, 또는 가늘고 부드러움을 의미하는‘楚’의 이미지를 투사하여 맑고 깨끗한 시의 경계 속에 화려하지 않은 아름다움이나 섬세하고 부드러운 시인의 정서를 담고 있는 시를 뜻하고, ‘淸越’은 탈속적이고 빼어남을 의미하는 ‘越’의 이미지를 투사하여 맑고 깨끗한 시의 경계 속에 세속을 뛰어넘는 빼어난 풍모와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시를 뜻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허균이 사용한 풍격 용어의 제1자가 가지는 속성에 비해 제2자의 속성은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제2자가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을 경우 그 범주를 명확히 하기는 더욱 쉽지 않다. 따라서 풍격 용어의 명확한 변별적 자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자를 중심으로 풍격 용어들의 계열을 구분하고, 이후 이렇게 구분된 동일 계열의 풍격 용어를 다시 제2자를 중심으로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경우 풍격 용어 각각의 제2자가 지칭하는 내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것은 풍격 용어가 작품의 美的 特質과 함께 作家의 個性을 동시에 설명하는 것이고, 작품의 미적 특질에 대한 설명은 작품이 만들어 낸 최종적인 詩境 또는 意境 뿐만 아니라 작품의 형성 과정과 표현 기법까지도 포괄하기 때문이다. 『성수시화』에서 허균이 사용한 풍격 용어들을 보면, 허균은 표현 기법이나 창작 방법보다 시 속에 드러난 작가의 기상과 시가 만들어낸 최종적인 意境에 주목하여 시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허균의 풍격 비평이 지니는 전반적인 양상에 대해서는 앞으로 자료를 보다 확충하여 더 자세하게 확인해 나가도록 하겠다.

목차

<논문 요약>
 I. 序論
 II. 『惺叟詩話』의 體裁와 構成
 III. 『惺叟詩話』속 風格 批評의 양상
 IV. ‘淸勁’⋅‘淸切’⋅‘淸楚’⋅‘淸越’의 변별적 자질
 V. 結論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尹載煥 윤재환.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