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약성서 연구와 해석

1QpHab vii.5-viii.3에 나타난 의인(義人)의 구원에 관한 이해

원문정보

An Understanding of the Salvation of the Righteous in 1QpHab vii.5-viii.3

임봉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will attempt to evaluate the salvation of the righteous through the lens of Pesher Habakkuk (1QpHab), particularly vii.5-viii.3, which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text of Habakkuk 2:3-4. This requires a previous understanding of a figure of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since the text describes the salvation of the righteous as "their trouble and fidelity to the Teacher of the Righteous"(1QpHab viii.1-3). The interpretation of Habakkuk 2:4b in 1QpHab viii.1-3 gives us a clear view of God's salvation from the house of judgment through both lm'['(‘āmāl, trouble) and hn"mua/(’emunâ, fidelity) to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is the founder of the community and the supreme interpreter of the Law. He confronts opponents from within and without, including "the Man of Lies" and "the Wicked Priest." While the Man of Lies is the leader of opposition among his own community who rises up against the Teacher, the Wicked Priest is the high priesthood of the Temple, from which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and his community separate themselves. The perspective of 1QpHab shows that the Qumran community knew the concept of the need for righteousness imputed by God. Here is also a significant development beyond the Old Testament itself in that the Qumran community already understood Habakkuk's words in terms of relationship to a person. This enabled Paul to apply Habakkuk 2:4 to Jesus Christ and to understand it. When it comes to faith in Jesus Christ, Paul understood this text teaches that one is not justified before God through the works of the law but accomplished through faith. This was intensified as the declaration of the Reformation by Martin Luther, which is “Only by faith” (sola fide), and became the core of the Reformed credo of Christianity. However, we can say that, in 1QpHab, the salvation of the righteous is not the alternative of ‘by works’ or ‘by faith.’ This understanding leads us to reconsider the Reformed credo “Only by faith” (sola fide)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church, which is confronted not only with spiritual issues but also ethical ones.

한국어

이 글에서 하박국 페셰르(1QpHab), 특히 하박국 2장 3-4절의 성경본문을 해석한 1QpHab vii.5-viii.3의 시각을 통해 의인(義人)의 구원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義)의 교사라는 인물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1QpHab viii.1-3이 의인의 구원을 “그들의 수고와 의(義)의 교사에 대한 믿음”으로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1QpHab viii.1-3에 있는 하박국 2장 4절의 해석은 심판의 집에서 구원받는 것이 lm'['(아말/수고)와 의(義)의 교사에 대한 hn"mua/(에무나/믿음), 이 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다. 의(義)의 교사는 공동체의 설립자요 율법의 최고 해석자이다. 그는 안팎으로 반대자들과 부딪치는데 소위 ‘거짓의 사람’과 ‘악한 제사장’이다. 거짓의 사람은 공동체 내에서 의의 교사에게 대항하는 반대파의 지도자라고 한다면, 악한 제사장은 의의 교사와 그 공동체가 분리해 나온 성전의 대제사장이다. 1QpHab의 관점은 쿰란 공동체가 하나님에 의해 부과된 의의 필요성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 또한 구약성경 자체를 넘어선 중요한 발전이 있는데, 쿰란 공동체는 이미 하박국의 말들을 한 개인과 관련된 용어로 이해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울로 하여금 하박국 2장 4절을 예수 그리스도에게 적용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관련하여 바울은 하박국 2장 4절이 율법의 공로를 통하여 의롭게 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을 통하여 성취된다는 것을 가르친다고 이해하였다. 이것은 마르틴 루터에 의해 ‘오직 믿음으로’(sola fide/솔라 피데)라는 종교개혁의 선언으로 강조되었으며, 기독교 종교개혁 신앙의 핵심이 되었다. 그렇지만, 우리는 1QpHab에서 의인의 구원은 공로냐 믿음이냐는 둘 사이의 양자택일 문제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는 우리로 하여금 ‘오직 믿음으로’라는 종교개혁 신앙을 영적인 것뿐만 아니라 윤리적인 문제들에 직면한 현대교회의 상황에서 새롭게 생각해 보도록 한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1QpHab vii.5b-viii.3a의 본문분석과 해석
  1) 1QpHab vii.5b-14a
  2) 1QpHab vii.14b-17a
  3) 1QpHab vii.17b-viii.3a
 3. 의(義)의 교사(The Teacher of Righteousness)
  1) 거짓의 사람(The Man of Lies)
  2) 악한 제사장(The Wicked Priest)
 4. 의인(義人)의 구원에 대한 이해
  1) 1QpHab viii.1-3에 있는 하박국 2장 4절의 주석
  2) 바울의 하박국 2장 4절 이해와 종고개혁 신앙
 5. 나가는 말
 6.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봉대 Pong Dae lm. 감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