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國 古代 陪都制의 形成과 類型 - 古代 韓國 都城의 復都制 검토를 위한 예찰 -

원문정보

Origin and types of dual capital system in ancient China - A comparative example to the multiple capital system in ancient Korea -

중국 고대 배도제의 형성과 유형 - 고대 한국 도성의 복도제 검토를 위한 예찰 -

조윤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rigin of dual capital system in China goes back to Luoyang, the eastern capital of the Western Zhou, but the term, sub-capital or secondary capital, started to be used from the Tang dynasty. However, dual capital system was abandoned after use of political centers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Ruling regimes of the ancient China chose the capital system with flexibility, based on the complex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contexts. During the pre-Qin and the Sui-Tang period, ancient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data show a careful contemplation of the rulers because the choice of capital system had a direct impact on the running of the state.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secondary sub-capitals in their urban and geographic contexts and patterns in their function in ancient China. China established this peculiar dual capital system and operated it across ancient East Asia area, which effectively dealt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complexity, and cultural diversity. This system is assumed to have maximum flexibility and effectiveness in politics, economy and diplomatic relations through multiple sub-capitals subsidizing the main capital for ruling local areas.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Chinese capital systems would help us understand the ancient capital systems of the rest of 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Japan.

한국어

중국 陪都制(alternate capital system)의 始原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서주 초기 東都인 雒邑을 嚆矢라고 보고 있지만 배도라는 용어의 출현은 唐代부터 확인되고 있다. 그 이후 陪都制는 民國시기의 陪都 重慶(중요거점)을 마지막으로 그 존재가 사라진다. 중국 고대의 각 정권은 정치, 경제, 군사 등 다방면에 걸친 매우 복합적인 배경에 따라 도성제도의 신축적 수용을 취하였다. 특히 先秦(진대 이전)시기에서 隋唐時期까지 배도제의 선택과 수용은 국가 경영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에 통치자들이 다방면에 걸친 신중한 고려를 하였다는 사실이 문헌기재와 고고자료에서 확인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비교적 선진적인 도성제도를 운영한 고대 중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배도의 도시·지리적 형성 과정과 그 기능에 대한 정형성을 고찰하였다. 고대 동아시아에서 선진적인 도성제를 운영한 중국은 陪都制라는 독특한 도성체계를 구축하여 정치사회적 복합성과 다양성을 실현하였다. 복수의 도성을 설치하여 중심 도성의 보조적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정치, 경제, 외교적 효용과 신축성을 극대화하였다. 고대 중국 陪都制에 대한 인식의 확장은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고대 동아시아의 復都制를 이해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연동작용을 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陪都의 槪念과 起源
  1. 陪都의 含意
  2. 배도의 기원
  3. 배도 현상과 그 의의
 Ⅲ. 배도제의 형성과 발전
  1. 고대 중국 배도제의 개시와 연혁
  2. 先秦時期의 陪都
  3. 秦漢時期의 배도
  4. 三國魏晉南北朝時期의 배도
  5. 隋唐時期의 배도
 Ⅵ. 陪都의 유형과 기능
  1. 배도의 유형
  2. 배도의 기능
 Ⅴ. 맺음말
  1. 陪都의 지리적 위치와 공간적 정형성
  2. 배도현상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의 한계
 참고문헌
 Bibliography
 Abstract

저자정보

  • 조윤재 Cho, Yun-Jae.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