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설기자재 안전인증 실태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urvey and Improvement of Safety Certifications in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

정성춘, 이학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found that there are so many problems in safety certification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the standards related the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the safety certification committee and complaints related the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of the domestic and the status of the safety certification display to ensure the safety of certification system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Domestic system is similar to Japanese system and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re managed with recommendations. Safety certification review board hearing information and complaints have been complex and diverse. reviews and complaints have been also increased. Safety certification mark has been engraved, it has been not displaying the entire contents of the regulations, also has been shown in any point. In order to settle the overall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 systems, the study will be followed for the inspection and test methods, permanent safety certification display and positioning methods

한국어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제도를 통하여 가설기자재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으나 관련 기준의 형식과 다름으로 인하여 안전성 적용기준이 모호하고, 신소재 및 신제품의 출현으로 인한 안전인증심의위원회 및 민원사항이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안전인증 표시가 마찰 등 손상으로 인하여 확인의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안전인증제도 전반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설기자재의 안전인증제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국내외 가설기자재 관련 기준, 안전인증심의 위원회 및 민원사항, 가설기자재별 인증마크 표시 실태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현행 가설기자재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제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의 기준은 일본과 유사하며, 반면 유럽과 미국의 제도는 권장사항으로서 강제성이 없으며, 신소재 및 신소재에 대한 적용이 유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인증심의위원회의 심의내용 및 민원제기내용이 다양하며, 계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었고, 표시방법에서는 음각을 선호하였으며, 일부 인쇄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전반적인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의 안전성 정착을 위해서는 가설기자재 품목조정을 위한 법제화 및 연계화, 자율점검기준 및 시험방법, 반영구적인 안전인증 표시 및 위치 지정방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3. 가설기자재 안전인증 리스크별 실태조사 및 분석
  3.1 가설기자재 관련 국내외 안전인증 규격 및 기준
  3.2 안전인증 심의 및 민원
  3.3 가설기자재별 안전인증 표시
 4. 가설기자재 안전성 확보 관련 저해요인 및 개선방안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성춘 Jeong, Seong-Choon. 동아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 이학기 Lee, Hak-Ki.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