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Residents' Awareness of Public Space in the Center of Rural Areas - Focusing on Main Street and Public Facilites of Local Community Unit -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positive study to examine problems of public space and seek their solutions with three cases of 12 myeon locations in Hwasun-gun, one of rural circles in Jeollanam-do based on center streets and public spaces through settlement system analysis. Consequently, public space environment of myeon locations at the sites of research showed that firstly, public space was arranged at the backside road or outer area due to the concentration of center streets and the facade structure of buildings at the center street was based on vehicle access and passage. Secondly, the facade structure of buildings at center street didn't ensure proper space for walking due to the street space and a bus station lacked the accessibility because it was installed at the outskirts of center street. Thirdly,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absence of small parks and convenience facilities connected to walking and environmental worsen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indiscreet access road on the pedestrians road. As a result, environment to accommodate compulsory activities for the residents at the center of rural areas was build and it seemed to be difficult to accommodate optional and social activities. Therefore, change into pedestrian-centered space for optional and social activities is needed.
한국어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심지의 장소성 중심 활성화로서 공공공간으로 볼 수 있는 중심가로와 공공공간들을 대상으로 전라남도 농촌생활권 중의 하나인, 화순군의 12개 면소재지 중 정주체계계층 분석을 통한 계층별 3개 사례를 추출하여 공공공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실증적 연구이다. 그결과 조사대상지의 면소재지들의 공공공간의 환경은 첫째, 중심가로의 밀집도로 인해 공공공간이 이면도로 또는 외곽부에 공급되고, 공공공간의 전면구성은 차량의 접근 및 통행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심가로변 건축물의 전면공간 역시 차도 확보로 인해 보행에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버스정류장은 중심가로 외곽부 설치로 접근성이 부족하였다. 셋째, 보행과 연계한 소규모 공원 및 편의시설들의 부재, 보행로 상의 무분별한 차량진입구 설치로 인한 보행의 연속성 및 환경 악화의 문제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지역민들의 농촌중심지에서 필수적 활동만이 가능한 환경으로 구성되었고, 선택적, 사회적 활동을 수용하기에는 힘든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농촌중심지의 공공공간 구성은 지역민들의 선택적, 사회적 활동이 가능한 보행중심의 공간들로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과 범위
2. 이론적 고찰
2.1 농촌중심지 활성화에서 장소 중심적 접근의 필요성
2.2 공공공간의 기능과 특성
3. 조사대상지 및 공공공간의 특성
4. 공공공간의 장소성 중심 구성요인과 세부항목 간의 평가분석
4.1 설문개요
4.2 평가항목의 평균값 분석
4.3 평가항목간 관계성 분석
4.4 조사대상지역 중심가로/공공공간 개선 요구도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