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퍼스관점에서 본 볼터의 재매개론

원문정보

Bolter's Remediation Theory on Peirce's Focus

이용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Various types of media show us information for mediating. In this procedure, our media experience becomes real when two logics, immediacy and hypermediacy work properly, becoming mixed with each other. The core idea of Bolter and Grusin's remediation theory is that media created an evolution aimed to satisfy our need for real experiences in this way. Here, they exemplify the custom of western paintings in order to illustrate the concepts of their two logics. Through this, the regulation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takes on a degree of realistic representation. In that way, the problem is the term 'reality', which accounts for a main position rarely defined in their book. Bolter and Grusin occasionally take an ambivalent stance to defend their theory on the boundary of the general meaning of reality, and this causes the basis of their theory to be weakened in spite of its excellent validity related to media studies. If we reconsider the meaning of reality in Peirce's focus, we can define Bolter and Grusin's two logics more precisely and develop them such that they become more persuasive. Doing this is simple. All that is necessary is to shift the definition of an aspect of media immersion to an aspect of the user's involvement. Regarding this type of cognitive behavior, immediacy can be redefined as 'experience without media needed' and hypermediacy as 'experience with media needed'. In this manner, when we seek the significance of media from an 'extension of recognition' rather than from the 'authenticity of experience', media come to us more ethically. This paper intends to make Bolter and Grusin's remediation theory more valid and to restore desirable value to media by reviewing the theory of Peirce's focus.

한국어

미디어는 정보를 매개해서 우리에게 제시하는데, 거기에는 비매개성과 하이퍼매개성이라는 두 논리가 적절히 혼합되어 우리의 미디어 경험을 실재적으로 만들어 준다. 미디어는 그렇게 우리의 실재적 경험을 만족시키려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다는 것이 볼터(Bolter)와 그루신(Grusin)의 재매개론의 핵심이다. 이 때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그들이 예시하고 있는 것은 서구 회화의 관습이다. 이를 통해 비매개성과 하이퍼매개성의 구분을 재현의 사실성에 두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론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실재성이란 용어가 거의 정의가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볼터와 그루신은 일반적 의미의 실재성에서 자신들의 이론을 변호하기 위해 때로 양가적 입장을 취함으로써, 그들 이론의 결과적 타당성에 비해 근거의 허약함을 초래하고 있다. 우리는 실재성을 퍼스의 관점에서 보면서 이론을 다시 재고함으로써 재매개론의 타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그 근거를 좀 더 설득적일 수 있도록 발전시킬 수 있다. 실천은 간단하다. 미디어에 대한 몰입 측면에서 정의되었던 비매개성과 하이퍼매개성의 정의를 사용자의 관여 측면에서 정의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비매개성은 인식의 행위에서 ‘미디어가 필요 없는 경험’, 하이퍼매개성은 ‘미디어가 필요하게 되는 경험’을 가리키는 용어로 재정의될 수 있다. 이처럼 미디어의 존재가치를 ‘경험의 진정성’으로 보기보다는, ‘인식의 확장’으로 보게 되었을 때 미디어는 우리에게 좀 더 윤리적으로 다가온다. 본고는 퍼스의 관점에서 재매개론을 재고함으로써 그것의 타당성을 좀 더 확고하게 하고 미디어에게 바람직한 존재의의를 회복시키고자 하는 시도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문제 및 연구절차
 2. 비매개성과 하이퍼매개성의 구분문제
  2.1 재현전략으로서의 비매개성과 하이퍼매개성
  2.2 재매개론에 내재한 모순
  2.3 실재성에 대한 정의 문제
 3. 퍼스의 기호사상
  3.1 궁극적 해석체
  3.2 탐구의 유형
  3.3 지각적 사유와 참조적 사유
 4. 퍼스 관점에서 본 재매개론
  4.1 지각적 사유와 비매개성, 참조적 사유와 하이퍼매개성
  4.2 관여의 측면에서 비매개성과 하이퍼매개성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용수 Lee, Yong Soo. (주) 옐로우페이지 디자인사업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