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짐 자무쉬의 <데드 맨>(1995)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특징

원문정보

Surrealistic Characteristics in Jim Jarmusch’s <Dead Man>(1985)

배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Jim Jarmusch’s from the perspective of surrealism. The appearance of this film resembles the archetype of the western genre. However, the archetypical attributes are completely destroyed, and the spirit of surreal aesthetic replaces it. Surrealism is an art movement that attempts to resolve previously contradictory conditions of dreams and reality and seeks various aesthetic experiments in an unconstrained unconscious condition. The subject of is dreamlike unconsciousness, the unity of life and death, and the redemption of the soul. Therefore, it reflects the spirit of surrealism. The language in Jarmusch’s typical films also pursues audiovisual modifications under the flag of the anti-conventional artistry, and this shares the aesthetic context of the creative image strategy of the surreal visual image aesthetics. The monochrome rough images cause the flexible boundary between the sleep and waking states materialize, and the absence of color emphasizes the surreal expression of unconsciousness in the somnambulant atmosphere. The consistently inserted fade flickers, akin to breathing in and out, also induce a dreamlike narration visual sense. The distorted sound of the electric guitar adds to this an auditive illusion. The protagonist acquires an unexpected identity on the surreal trip to death. This double identity means the assimilat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e., life and death, which lays the foundation of surrealism.

한국어

본 연구는 짐 자무쉬의 <데드 맨>을 초현실주의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 영화의 외형은 웨스턴 장르의 전형을 따르는 듯하다. 하지만 장르의 전형성은 철저히 파괴되고,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것은 초현실주의 미학의 정신이다. 초현실주의는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구하여 잠재의식을 표면 위로 끌어올리고, 기성의 도덕적·윤리적 관습에서 탈피된 내적 상태에서 자유롭고 다양한 미적 실험을 추구했던 예술운동이다. <데드 맨>이 제시하는 주제는 몽환적 무의식, 삶과 죽음의 합일 그리고 이를 통한 영혼의 구원이며, 따라서 이는 초현실주의의 정신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자무쉬 특유의 영화언어는 반관습적 예술성이라는 기치 아래 시청각적 변형을 추구했던 초현실주의 영상미학의 창의적 이미지 전략과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거친 흑백의 이미지는 깨어 있음과 꿈꾸고 있음의 유연한 경계를 형상화하고, 색채의 부재는 몽유병적 분위기에 잠재된 무의식의 표출이라는 초현실주의의 색채를 강조한다. 수시로 삽입되는 페이드는 마치 들숨과 날숨처럼 깜빡거리며 몽환적 서사를 시각적으로 유도하고, 왜곡된 전자기타 사운드는 페이드를 통한 시각적 무의식에 청각적 환영을 더한다. 그리고 주인공 캐릭터는 죽음을 향한 낯선 여행에서 뜻밖의 자의식을 획득하고, 자아와 타자 사이의 관계가 재정립된다. 이중의 정체성은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삶과 죽음의 동일화를 의미하며, 이것은 초현실주의 미학의 핵심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초현실주의와 영화
 3. <데드 맨>의 초현실주의적 특징
  3.1 기차의 도착
  3.2 페이드 영화음악 : ‘시청각적 무의식’
  3.3 블레이크 vs. 노바디
  3.4 미지의 숲 - 초현실의 지형
  3.5 삶과 죽음의 합일
  3.6 물의 거울과 영혼의 구원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배상준 Bae, Sang Joon.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