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에서의 창조적 연결성 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e Connection Scale

유나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the Creative Connection scale of Movement-based expressive art therapy based on the conceptual and operating definition, and the verification of its reliability and validation. Firstly, researching about the creativity of the expressive art therapy, and composing the operation definition and conception of sub-factors. After that, 46 items were selected by the operating definition of the creative connection, and 26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questionnaire based on reviews of experts. Secondly, it was applied to 312 people, and investigative factor analysis resulted in developing the final 15 items. Internal consistency of the full scale and sub-factors were respective. Third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responses regarding other 318 people wer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and showed a reasonable fit index. The convergent validity analysis used a korean version of the five-factor mindfulness questionnaire with the spirituality scale for koreans; it verified the correction coefficient.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self-esteem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was well verifie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connection scale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behaviors, interpersonal sensitivity, hostility and PTSD. Increment validity was also tested with the Everyday Creative Scale. Finally the summary and discussion of the results underscore the need to further research and gain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에서의 창조적 연결성의 조작적 정의에 따라 척도를 개발하고, 해당 척도가 적합한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첫 번째로 표현예술치료에서의 창조성에 대해 문헌 고찰을 하고, 조작적 정의와 하위요인의 개념들을 구성했다. 이후에는 조작적 정의에 부합되는 46개의 예비 문항들을 개발하고, 전문가들에게 문항 수정과 보안을 받고,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26개의 예비 창조적 연결성 척도를 구성하였다. 두 번째로 312명의 설문지 자료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 요인으로 결정하고 각 요인에 해당되는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3요인은 연결성 5문항, 알아차림 5문항, 창조성 5문항으로 총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창조적 연결성 척도의 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양호했다. 세 번째로는 318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수렴 타당도, 공존타당도, 증분타당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한국인을 위한 영성, 심리적 안녕감, 자기 존중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간이 정신진단 검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일상적 창의성 척도와의 증분 타당도를 통해 창조적 연결성 척도가 고유한 변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창조적 연결성 척도 개발 연구
  2. 창조적 연결성 척도의 신뢰도
  3. 창조적 연결성 척도의 확인적 요인 분석
  4. 창조적 연결성 척도의 타당도 연구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나래 You, Na-Rae.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연구소 연구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