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수령의 소송지침서 『詞訟類聚』의 편찬과 활용

원문정보

A Study on Compilation and Utilization of Litigation Guidelines Called Sasongyuchi for Local Magistra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조선시대 수령의 소송지침서 『사송유취』의 편찬과 활용

김명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publication and the system of Sasongyuchi (詞訟類聚), which was most widely known and continuously distributed and re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o look into changes in publication status and the version of Sasongyuchi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r. I have also examined how local magistrates nationwide used Sasongyuchi reproduced in this manner based on records in old literatures. Sasongyuchi was published again as a book printed using wooden movable type called Gyeolsongnyuchi in Jeonju before the Imjin War following its initial publication by Kim Tae-jeong as a xylographic book in Jeonju in 1585. Several woodblock-printed books attached with supplementary manuscript apart from Sasongyuchi in Jeonju were published after the Imjin War although its place of publication is not known. Yeongcheon Sasongyuchi, which was a script version of the wooden type book Gyeolsongnyuchi was also published. The periods of publishing these woodblock-printed books have been estimated based on the reference of the ownership stamp in the body, ‘Daemyeongnyeongi’, ‘Bonchonyeongi’, Gangi etc. since they were not mentioned in historical sources. Along with thes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Sasongyuchi was quoted in national law books and law book collections created by the king’s command, which confirms that it was an offical litigation guidelines used in practical purposes and that local magistrates nationwide read Sasongyuchi during their term in office and used it as a reference material for actual litigation cases based on the preface of Park Tae-bo, Jeong Yak-yong’s appointment as a local magistrates and offical records of government authorities. The brief introduction of Sasongyuchi has been presented from its initial publication in 1585, followed by its revised and complementary versions of Gyeolsongnyuchi and Gyeolsongnyuchibo. When it comes to Sasongyuchi, however, it is not easy to estimate the change of its publication based only on the change in its title and presumably there were many occasions of its publications along with the presence of its multiple copies. Therefore, further researches into books or manuscripts that influenced the initial publication of Sasongyuchi and its revised and reproduced version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한국어

이 연구는 조선시대 가장 널리 알려졌고 지속적으로 유통, 재생산되었던『詞訟類聚』를 중심으로 그 간행 배경과 체제를 살펴보고, 『사송유취』의 임진왜란 이전과 이후 板本을 통해 간행 현황과 판본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렇게 재생산된 『사송유취』를 守令들이 어떻게 활용했는지 각종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사송유취』는 1585년 全州에서 金泰廷에 의해 木版本으로 간행된 이래 임진왜란 이전 전주에서 또 木活字本 『決訟類聚』로 간행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刊行地는 알 수 없으나, 전주 『사송유취』와는 별개의 판본이 여러 차례 補板을 넣어가며 간행되었다. 그리고 목활자본 『결송유취』을 代本으로 간행된 永川 『결송유취』도 간행되었다. 이들 판본에 대한 간행 시기는 사료에 명확히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본문의 藏書印, <大明年紀>, <本朝年紀>, 刊記 등을 통해 유추하였을 뿐이다. 이와 함께 『사송유취』가 국가의 법전과 왕의 명령으로 만든 법전 모음집에 인용된 것으로 보아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소송지침서였음을 알 수 있었고, 朴泰輔의 序文과 丁若鏞의 守令 赴任, 관청의 重記를 통해서 수령이 『사송유취』를 임기 중에 읽고, 소송에 참조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사송유취』는 1585년 『사송유취』가 간행된 뒤 『결송유취』와 『決訟類聚補』가 뒤이어 간행되었다는 간단한 흐름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사송유취』의 경우 標題의 변화만으로 간행의 변화를 추측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 간행된 횟수도 많았고 판본 또한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후 『사송유취』가 처음 간행되기 전에 영향을 받은 다른 책이나 판본과 간행되고 변이되어 재생산된 판본에 대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詞訟類聚』간행 배경과 체제
 3. 『詞訟類聚』판본 현황과 특징
  3.1 임진왜란 이전
  3.2 임진왜란 이후
 4. 수령의 『詞訟類聚』활용 사례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명화 Kim, Myeong-hwa.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