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만해 한용운이라는 기념비

원문정보

A Monument named Manhae, Han Yong-woon

김익균

대각사상연구원 대각사상 제25집 2016.06 pp.201-23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ssues surrounding the Korean historiography fo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elebration of Manhae, Han Yong Woon, are faced with a new juncture, coinciding with the seventieth anniversary of Han’s decease as well as a near-to-complete loss of his contemporaries. Recording history may become a challenged task, when all members of the generation with colonial experiences leave us. Acts of Remembrance for the seventy years of Japanese colonization hover over the space between history and memory, with the disappearance of most of its witnesse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or in other words from the fortieth anniversary of the Liberation, the witnesses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were aging fast. The recording of this period has been recognized as a form of memory, as opposed to just history, held by its contemporaries; to younger generations, however, it is gradually turning into complete history, or merely abstract records. This thesis asserts as a prime example placed between history and memory, the representation we call Han Yong Woon; it could not be entirely independent from the history-making of the strong singular nation state, but reveals the potential of collective memory that will not become converged into such historicizing. We have endeavored to overcome the abstract historicizing, through examining collective memories from the seventy years after the death of Han and reconstructing those memories of various people. Our lieu de mémoire named Han Yong Woon has been diffused into a living memory, rather than imposing on us in the name of history. Our lieux des mémoire of Han and Im Hwa, or Han and Lee Kwang Soo, will become transmittable as ‘real memory,’ through their collisions and diffusions.

한국어

대일항쟁기를 경험했던 세대들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 만해의 70주기에 대일항쟁기의 역사를 기록하는 문제와 한용운을 기념하는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대일항쟁기를 경험한 세대가 모두 사라졌을 때 그 당시의 역사기록은 자칫 화석화될 수 있다. 70여 년간 반복되어 온 대일항쟁기에 대한 기념 행위는 대일항쟁기를 직접 경험한 세대가 사라져가는 오늘날 역사와 기억 사이를 떠돌고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다시 말해 해방 이후 40년이 지나면서부터 대일항쟁기를 경험한 세대는 급속히 노령화되었다. 대일항쟁기는 이들 세대에 의해서 역사이자 동시에 직접 기억으로 인정되어 왔지만 새로운 세대에게 그것은 차츰 추상적 기록으로서의 역사로 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용운이라는 표상이 역사와 기억 사이에 놓인 대표적 사례로 보았다. 한용운이라는 표상은 힘 있는 단수인 국민국가의 역사 만들기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었지만 그러한 역사화로 수렴되지 않는 집단기억의 가능성 역시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한용운 사후 70년 동안의 집단 기억들을 검토하면서 한용운에 대한 다양한 주체들의 기억을 재구성하여 추상화된 역사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한용운이라는 기억의 장소는 역사의 이름으로 우리를 억압하기보다는 살아 있는 기억으로 확산되어 왔다. 한용운과 임화, 혹은 한용운과 이광수라는 우리의 기억의 장소는 서로 충돌하고 확산되면서 ‘진짜 기억’으로 전승가능해질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며 : 민족의 사표(師表) 만해 한용운, 역사와 기억 사이
 Ⅱ. 한용운 연구의 형성기 - 망우리 공동묘지와 전집간행위원회의 활동
 Ⅲ. 한용운이라는 기억의 장소
  1. 한용운전집 간행과 만해 문학상 제정
  2. 만해를 기념하는 다양한 주체들
 Ⅳ.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익균 Kim, Ig-kyun. 성균관대학교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