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운동형태가 비만 여자중학생의 건강관련체력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Running and Running Combined with Weight Training on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 Profile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박병주, 김성겸, 최재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hanges of the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 Profile following exercise between the group having running training and running training and combined running with weight training, the Obese Middle School Girls(n=20) with over 30% of body fat mass trained 12 weeks dividing into 2 group, which are running training(RT;n=10), combined weight training with running(CT;n=8) for determine the effect on exercise between groups. The RT group was operated only running(Target HR=HRrest-HRmax (220-aged)/.5-8+HRrest) and CT group was operated combined weight training(50-60 1RM) with running(Target HR=HRrest-HRmax (220-aged)/.5-8+HRrest) for 4 day with 12week.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body fat mass, flexibility, cardiorespiratory function, TC, TG, LDL-C, HDL-C gained significant effectiveness at post-exercise from RT and CT groups compared to the pre-exercise. As for difference of lean body mass and muscular strength/endurance between groups, CT group increased more significant than RT group at post-exercise from pre-exercise.

한국어

본 연구는 체지방율 30% 이상인 비만 여자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달리기집단(10명), 달리기와 웨이트 복합집단(10 명)로 나누어 12주간, 주 4회 트레이닝 전․후 건강관련체력과 혈청지질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달리기집단(RT) 은 달리기+걷기만(Target HR=HRrest-HRmax(220-aged)/.5-8+HRrest)을 하루에 본 운동 40분(걷기 15분, 달리기 25분)을 실시하였으며, 복합집단(CT)은 달리기는 RT집단과 동일한 강도로 15분, 웨이트는 50-60 1RM으로 복합하여 25분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 내 분석에서 건강관련체력 중 체지방율,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유연성이 혈청지질의 토탈콜레스트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콜레스트롤, 고밀 도 지단백콜레스트롤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제지방량은 복합운동집단에서만 증가하였다. 그리고 집 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2) 제지방량과 근지구력은 CT집단이 RT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달리기+WT 복합운동이 달리기 단일운동보다 제지방량과 근지구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결과로, 비만 여자중학생의 건강관련체력을 증진시키면서 혈청지질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항목 및 방법
  3. 운동 프로그램
  4. 자료처리
 Ⅲ. 결과
  1. 건강관련체력
  2. 혈청지질
 Ⅳ. 논의
  1. 건강관련체력
  2. 혈청지질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병주 Park, Byung-Joo. 동서대학교
  • 김성겸 Kim, Sung-Kyeom. 동서대학교
  • 최재현 Choi, Jae-Hyun. 경남정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