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3D 프린터 활용 프로세스를 통한 교육과정 연구 - 디자인대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iculum by the Process of Actual Use of 3D printer - Focus on the College of Design -

성국주, 김석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ew paradigm of 3D printing is that no one is clearly easy to regulate or estimate the impact adverse on existing industry or the form of new business models. Nevertheless, it will be judged that there is no person to deny about potential possibility of implicated 3D printing technology by industrial and business aspects. This study ha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at to suggest practical education which is available as practical application because new creative tools in design department are expected to have greater impact and use of 3D printing techn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work process of 3D printing technology for this purpose, we composed the step-by-step curriculum linkages which combined theory and practice for student to create the well-made final output.

한국어

아직까지 3D 프린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그 누구도 명확하게 기존 산업에 미칠 영향력이나, 그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형태나 규모를 규정하거나 가늠하기가 힘들지만, 3D프린팅 기술이 내포한 잠재적 가능성에 대하여 부정하는 이는 없으리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는, 3D 프린팅 기술이 가지는 무한한 가능성으로 인하여 각종 미디어를 통하여 자주 소개되고는 있으나, 정작 대학의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와 자료가 부족하다고 판단, 새로운 창작도구로서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과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디자인 관련학과에서, 실질적 적용과 활용이 가능한 현실적 교육안을 연구하는 것에 그 목적과 의의를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3D 프린팅 기술의 공정과정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이 병행된 세 개의 순차적 구조를 지닌 교육과정을 구성, 제언해 보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시사점과 목적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3D 프린팅 기술의 이론적 배경
  2.1 3D 프린터 조형원리와 제작공정
  2.2 3D 프린터 유형에 따른 장단점
 3. 과정별 교육안의 제시
  3.1 프리프로덕션(pre production)
  3.2 메인프로덕션(main production)
  3.3 포스트프로덕션(post production)
 4. 결론
 ACKNOWLEDG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성국주 Kug-Joo Sung.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겸임교수
  • 김석래 Suk-Rae Kim.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