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recent monochrome painting wave is drawn by the contemporary art market, this thesis examines the following three critical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can imply, ‘As a truly independent school, can Korean monochrome painting be seen as the Korean art movement which has developed as the close ideology and the practical integration?’ The second question is the presentation of the problem on the established theory that is to say the white color is the Korean indigenous aesthetic sense. The third and last question is about the English notation, ‘Dansaekhwa’, as a qualification which regulated monochrome painting as a crystal of vigorous ideology.
한국어
이 논문은 오늘날 ‘단색화’로 명명되는 한국 추상화의 한 경향에 대한 세 개의 반성적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질문은 단색화를 진정 독자적인 유파로서, 긴밀한 이념과 그 실천의 집약체로서 형성된한국적 미술운동 또는 유파로 볼 수 있는가이다. 둘째 질문은 오늘날까지 관례적 정설로 자리 잡아 온 견해로서 ‘단색화는 진정 한국성 또는 한국적 미의 반영인가’이다. 셋째 질문은 단색화의 거의 공식화된 영문표기인 ‘Dansaekhwa’와 그것을 정당화하는 담론은 타당한가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운동으로서 단색화의 독자성에 대한 질문
Ⅲ. 한국성, 또는 한국적 미(美)의 반영으로서 단색화에 대한 질문
Ⅳ. ‘Dansaekhwa’ 표기의 동기와 정당화 담론에 대한 질문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