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투고논문

The Emergence of Essence-Function (ti-yong) 體用 Hermeneutics in the Sinification of Indic Buddhism : An Overview

원문정보

A. Charles Muller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ssence-function 體用 (Ch. ti-yong, K. che-yong, J. tai-yū; in non-Buddhological studies in Japan, tai-yō) paradigm can be seen as the most pervasively-used hermeneutical framework in the interpretation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works ranging from as early as the 5th century BCE up to premodern times. It developed in richness during the course of its application in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first in China, where it was applied extensively in the sinification of Indian Buddhist doctrine, and formed the basic framework for the philosophy of the Chinese indigenous schools of Buddhism such as Huayan, Tiantai, and Chan, often in analogous forms such as li-shi 理事. It was then further transformed and expanded in its usage in Song Neo-Confucianism, especially in the form yet another analogue li-qi 理氣. As both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took root in Korea, Korean scholars made extensive use of the che-yong paradigm, both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 religion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s well as in interreligious dialog and debate. This paper seeks to revive discussion of this vitally important philosophical paradigm, which has been almost fully ignored in Buddhological studies, both East and West, by examining its early appearances in Chinese Buddhist commentary, and then its role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as well as some examples of its usage in Korean Buddhism, in the writings of Wonhyo and Jinul.

한국어

본질-작용(體用, Ch. ti-yong, J. tai-yū; 일본에서 불교학 이외의 연구에서는 tai-yō) 패러다임은 기원전 5세기부터 근대 시기에 이르기까지 중국, 한국, 일본의 종교・철학적 문헌을 해석할 때에 가장 널리 사용된 해석학적 틀로 볼 수 있다. 먼저 중국에서는 유교, 도교, 불교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풍부한 발전을 이루었는데, 특히 인도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 폭넓게 적용되었다. 그리고 종종 理事(li-shi)와 유사한 형태로 화엄, 천태, 선과 같은 중국 토착 불교 학파들의 철학을 위한 토대를 형성하였다. 나아가 송대 신유학(新儒學)에서 ‘체용’ 의 용례는 특히 잇따라 나타나는 또 다른 유사형태인 理氣(li-qi)의 형식으로 변화하고 확장되었다. 불교와 신유학 모두 한국에 뿌리를 내리면서 한국 학자들은 신유교와 불교 각각의 종교에 대한 해석뿐 아니라, 둘 사이에 있었던 대화와 논쟁에도 체용 패러다임을 폭넓게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동양과 서양 모두의 불교학에서 거의 완전히 무시되었던 이 지극히 중요한 철학적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를 되살려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을 중국 불교 주석문헌들 초기의 용례, <대승기신론>속에 나타난 그 역할, 더불어 한국 불교, 특히 원효와 지눌의 저작에서 사용된 몇 가지 용례들을 조사함으로써 시도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I. Essence-function 體用: Introduction
 II. Defining Essence-function 體用
 III. Essence-function 體用: Problems with English Translation
 IV. Essence-function 體用: Appearance in Early Chinese Buddhism
 V. Jizang
 VI. Essence-function 體用: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VII. Essence-function 體用: Some More Examples
 VIII. Korea
  1. Wonhyo
  2. Seon, Jinul, and the Pervasive Frame of Essence-Function
 IX. Neo-Confucian Expansion of the Essence-Function Paradigm
 X. Conclusion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A. Charles Muller University of Tokyo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