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민요와 디지털 박물관의 가능성

토속민요 자료 수집을 위한 방안 - 디지털 민요박물관의 설계를 위한 논의에 부쳐 -

원문정보

How to collect resource of folk song - Regarding plan of digital folk song museum

김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ept of digital folk song museums. Among other things, it aims to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folk song as a contemporary cultural resource and consequently suggest how to collect folk song resources directly. Museums must appeal to public. Also, they must be open spaces that can directly contribute to cultural streams. For easy access as well as expedient utilization, it is important to make a plan to collect resources, utilize education and studies, and create. Folk music is related to musicology, anthropology, folklore and literature. At the beginning of collecting folk songs, lyrics had been collected using a recording machine, the sound (music and literature) preserved. By comparison, characteristics of folklore or functional aspects which assure on-site reality had been neglected. The very first research on folk songs using a recording machine by an official organization was accomplished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at KBS. However, due to a shortage of labor as well as finances,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a small area. Research on folklore achiev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the 1970's was a part of Folklore over all. It also was partial research.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oceeded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Hanguk Gubimunhak Daegye; Folksong, Stroy, Shamanistic song),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cover all of the area even though a large professional workforce was invested in the extensive area. The most systematic and organized research on a nationwide scale is Great series of Korean Folksongs achieved by MBC. Even now, It is considered the most innovative research on Folksongs that dealt with 9 regions of South Korea, including Jeju island. It is essential to collect photo and video clips that contain on site scenes to understand Folksongs. These sources must be utilized from not only academic materials but from various media (broadcasts, movies), and from private collections so that we can extend the understanding of folk music'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have photographs or pictures of old tools and everyday goods. For instance, to understand folk songs sung in old fishing boats, we need photos or pictures of ones that have vanished. Genre paintings of the 18-20th centuries containing the customs of the Chosun and Korean dynasties c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folk songs. Genre paintings are portray the everyday life of people who lived in this period of time; so it is proper to convey emotions and the concreteness of folk songs. Extract folk song-related contents from Chinese language literature or from Modern literature as well as developing themes on those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is one way to extend the denotation of folk songs. In any social circumstances, folk songs passed down with changes. These days' folk songs are so different from the past. However, it is necessary to keep on collecting, analyzing, conserving, and managing folk songs to focus on aspects of their changes. I expect that various sources of folk songs are reflected in the blue prints of digital folk song museums, which can function as the space of regeneration for folk music.

한국어

이 글은 디지털 민요 박물관의 구상을 염두에 두고 마련된 것이다. 그 중에서도 현대의 문화 자원으로서 민요가 가지는 특질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민요 자료의 수집과 그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민요는 사람(창자)과 행위(구연), 사설, 기능, 선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음악학, 인류학, 민속학, 문학과 관련이 있다. 민요 수집의 초창기에는 노랫말을 채집하기 시작했고 이후 녹음기를 사용하여 소리를 담았지만 민요가 가진 현장성을 담보할 수 있는 민속적 특징이나 민요의 기능적 측면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어 왔다. 공적 기관에서 주관한 최초의 민요조사 사업은 1960년대말 KBS에서 이루어졌으나 인력과 재원의 부족으로 조사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다. 1970년대 문화재관리국의 민요조사는 민속 전반(민요, 굿, 춤, 의식, 농악)에 관한 조사의 일환으로 민요가 조사되어 부분적인 수확에 그치고 말았다. 「한국구비문학대계」 사업은 광범위한 지역에 많은 전문 인력이 투입되었음에도 모든 지역을 포괄하지는 못했다. 전국적인 규모의 가장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민요조사사업은 1990년대 공영방송인 mbc에서 주관한 「한국민요대전」 사업이다. 대규모 민요 조사 사업을 개인이 이룰 수 없는 것과 같이 민요박물관의 설립은 문화유산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명제 하에 국가나 공공기관이 정책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제대로 수행되기 어렵다. 민요의 이해를 위해서는 소리 자체와 아울러 (1)현장을 담은 사진 및 동영상이 필수적이다. (2)옛 생활도구에 대한 사진이나 그림도 반드시 필요하다. (3)18~ 20세기 조선과 구한말의 풍속을 담은 풍속화도 민요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4)한문학이나 현대문학, 혹은 타음악 장르 속의 민요 관련 내용을 발췌하거나 새로운 주제를 개발하여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민요의 외연을 넓히는 방법이다. 오늘날의 민요는 과거와는 여러 면에서 비교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 변화의 양상도 주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민요의 채집과 분석, 보존과 관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디지털 민요 박물관이 바람직하게 설계되어 우리시대 민요가 새로운 위상을 찾게 되길 기대해본다.

목차

국문초록
 1. 토속민요와 박물관
 2. 토속민요의 성격
 3. 토속민요 수집(녹음 채집)의 사례
 4. 자료 수집의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숙 Kim, In-suk. 한국예술종합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