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후기고딕 초상화의 헤드 드레스를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Head Dress of Late-Gothic Portraits

박소연, 김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ashion illustrations are considered as Visual Communication expressions by visualizing the fashion images or expressing into the colors and forms through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based on artist’s sensibility, personality, and experience. These attempts were originated from the painting of Late gothic-era where the characters and costumes were expressed creatively. In terms of the paintings of Late Gothic-era, the secular and fantastic topics were in fashion, as well as the religious purpose. And artists would express the garment which were not worn by persons or drawn things that did not exist, through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As such, the creative character-expression was enabled by exaggerating and distorting the human body, which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various illuminated manuscripts and portraits. Regarding the portrait in the period, profile portraits were developed, as the God-centered ideology changed into the humanistic thoughts. This ambiance mainly appeared as the form of side upper-body where the expression of ideal beauty was possible rather than realistic description, in the pose of figures. The color contrast effect to highlight the figure and the decoration expressed in the head dress could be fully reinterpreted with a modern sense. In this study, fashion illustration works were created by applying the head dress of Late-gothic having the abundant possibility which could propose the artistic value and style using various ways of expression. Through research findings, six kinds of features about the Late-gothic portraits could be drawn and head dress reflecting such characteristics most properly was found out as the significant motive to emphasize personalities and characters also it may be reinterpreted in a modern sense. The meaning of this trial lies in proposing the creative ideas, expressions of fashion illustration and the style of illustration utilizing diverse decorative elements as a material, and improving its artistic value.

한국어

현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패션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표현하거나 작가의 감성과 개성, 경험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해석을 통해 색채와 형태로 표현하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시도는 인물과 의상을 창의적으로 표현했던 중세 말 후기고딕 시대의 회화에서 발견된다. 후기고딕 시대의 회화는 종교적 목적뿐 아니라 세속적이며 환상적인 주제가 유행을 하였으며 화가는 자의적인 해석을 통해 인물이 착장 하지 않았던 의복을 표현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사물을 그리기도 하였다. 이는 인체를 과장, 왜곡하여 독창적인 인물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고 각종 필사본 채식과 초상화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초상화는 신 중심사상에서 인본주의적 사고로 변화되면서 인물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필 초상화가 발전하였고, 이러한 분위기는 인물의 포즈에 있어서 사실적 묘사보다는 이상적인 미의 표현이 가능한 측면 상반신으로 주로 나타났다. 인물을 부각시키기 위한 색채의 대비 효과와 헤드 드레스에 표현된 장식성은 현대적인 감각으로 충분히 재해석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예술적 가치와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는 가능성이 풍부한 후기고딕의 헤드 드레스를 응용한 발상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의 결과, 후기고딕 초상화의 특징 6가지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징이 가장 잘 반영된 헤드 드레스는 인물의 캐릭터와 아이디어를 부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모티브임을 알 수 있었고 현대적 감각으로도 재해석이 가능하였다. 또한 후기고딕 초상화에 나타난 헤드 드레스의 조형미를 응용한 결과 역사적 패션 아이템이 현대적 디자인과 조형 표현의 풍부한 모티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창의적 발상과 표현, 다양한 장식적 요소를 소재로 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스타일 제안과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후기고딕 초상화에 관한 고찰
  2. 후기고딕 초상화에 나타난 여성용 헤드드레스에 관한 고찰
 Ⅲ. 작품 제작 및 해설
  1. 제작 의도 및 방법
  2. 작품 제작 및 해설
 Ⅳ.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박소연 Park, So Youn.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김혜경 Kim, Hye Kyung.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