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nvestigating Motivations and Barriers to Fashion Product Recycling - Toward a Strategy for the Promotion of Public Participation -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rst,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s of fashion product recycling in terms of their motivations, attitudes, barriers, and intentions, seco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hree different recycling methods (e.g., resell, reuse, and donation), and third, examine the effects of motivations and barriers on recycling attitudes and intentions. Data obtained from young consumers aged 20∼39 were analyzed through SPSS 23.0;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paired sample t-tests, repeated measure ANOVA, and regression.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recycling motivations, attitudes, barriers, and intentions among three recycling methods. Overall, participants showed higher motivations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recycling through donation than resell and reuse. Economic/philanthropic and environmental motivation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all of three recycling methods. Major barriers to three different methods of recycling fashion products were explo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consumers' lack of knowledge on how to use each recycling methods and perceived level of hassl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recycling intentions. This research is a necessary precursor to establish effective and organized recycling programs for fashion products. Public policy makers can use this baseline information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recycling programs, ultimately promoting consumers recycl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한국어
패스트 패션의 유행과 더불어 패션제품의 대량소비행태가 높아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의류 처분양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부의 조사에 따르면 실제 의류폐기물은 오히려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제도나 체계의 제공이 필요한 패션제품의 재활용 방법을 세 가지로 구분한 후(교환 및 거래, 수선 및 리폼, 기부), 각각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와 태도, 그리고 호의적인 태도가 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하게 하는 장애요인을 조사하고, 그들의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패션제품의 재활용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일에 기여하고자 한다. 20대와 30대의 성인 남녀를 편의표본방법을 통하여 모집하였고, 총 28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증, 반복측정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동기 인식, 태도, 및 의도는 세 가지 재활용 방법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들은 ‘기부’를 통한 패션제품의 재활용 방법에 대해 다른 두 가지 방법보다 높은 동기인식, 호의적인 태도와 의도를 보였다. 또한, 경제적/자선적 동기와 환경적 동기인식은 모든 재활용 방법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호의적인 재활용 태도가 실제 행동의도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지식이 부족해서 또는 귀찮아서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세 가지 재활용 방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태도 및 의도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사회적 재활용 제도 마련을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제품의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하고 의미 있는 결론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패션제품의 재활용 방법
2. 재활용 동기와 재활용 태도
3. 재활용 태도 및 장애요인과 재활용 의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조사기간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4. 연구문제
Ⅳ. 연구결과
1. 인구 통계적 특성
2. 주요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평가
3. 패션제품 재활용 현황
4. 패션제품 재활용 방법에 대한 동기, 장애요인, 태도 및 의도
5. 패션제품 재활용 방법에 대한 동기 인식이 재활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6. 패션제품 재활용 방법에 대한 태도와 장애요인이 재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