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가곡과 시조에 수용된 7언율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 of Chinese Poetry as Lyrics of Gagok and Sijo

김우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use of Chinese chileonyoolshi [七言律詩: seven word poem] poetry as lyrics of gagok and sijo. Traditionally, lyrics of gagok and sijo are in Korean with fixed verses made of only 3 lines. However, the works for this study follow the form of chileonyoolshi poetry with fixed verses of 8 lines, each comprised of 7 characters. The use of chileonyoolshi poetry as lyrics of gagok began some time between the years 1772 and 1820 within the Nogajaegadan [老歌齋歌壇: Folk Music Commission] and the like. Thereafter, chileonyoolshi gagok was passed down with a few minor adjustments and later also began to appear in sijo. At present, there are only 3 poems, including ‘Shibjaereul’, used in gagok. In sijo, there are 13 poems, including the 3 gagok poems. Chileonyoolshi in gagok begins as the lyrics of the song of rong(弄, mahnhoeng, mahnsahk) then expands into the rahk(樂, eonrahk). Characteristically, it is cried out in the beginning and carried through the melody(eolong, eolahk, upyun). Similar cry out features were also characteristic of the Ujo jireum-sijo tradition. Its use is evident in all gagok and sijo lyrics with the ‘crying out’ melody. Furthermore, it is gathered that chileonyoolshi gagok and sijo were not sung by female vocalists likely due to the post-Joseon social upbringings during this period.

한국어

이 논문은 가곡과 시조의 노랫말로 사용된 7언율시에 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가곡과 시조의 노랫말은 시조시라 불리는 3장 형식의 정형시를 사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7언율시는 기승전결의 구조로 구성된 정형시이다. 이와 같이 다른 시형(詩型)이 가곡과 시조의 노랫말로 사용된 경과를 연구하였다. 7언율시가 가곡의 노랫말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772년과 1820년대 사이이며, 노가재가단 또는 노가재가단 계통(해동가요)에 의해 7언율시가 수용되었다. 그 이후 7언율시는 제1~2구를 한글로 풀어 노래하면서 전승되었고, 후에는 시조의 노랫말로도 사용되었다. 현재의 가곡에는 ‘십재를’ 등 3수만이 사용되고, 시조에는 가곡의 3수를 포함하여 13수가 사용된다. 7언율시는 가곡의 만횡(만삭 = 언롱) 노랫말로 불리다가, 후에 락과 편의 노래로 확장되었고, 질러 시작하는 특징의 악곡(언롱, 언락, 우편)에도 사용되었다. 이처럼 질러내는 특징은 우조지름 시조에서도 그대로 전승되었다. 즉 7언율시는 가곡과 시조에서 모두 ‘지르는’ 악곡의 노랫말로 사용되고 있 다. 7언율시 노랫말의 가곡과 시조를 여창으로 부르지 않았던 이유는 조선후기의 사회 적 배경 즉, 가단 활동의 목표 중 하나가 후원자 계층(국태공과 우석상서)의 미감과 취향을 구체화 하는 것에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본론
  1) 가곡에 사용된 7언율시
  2) 시조에 사용된 7언율시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우진 Kim, Woo-Jin.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