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김소희 단가 <역려과객> 분석을 통한 작창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Creative Composition on Panaori Singing: Based on Danga, “Yeokryeogwagaek” sung by Late Master Kim So-hui

김수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ing appeared in one of the tracks in the collection of Danga (short song for vocal warming) released in 1969 by Jigu Record Co., the Yeokryeogwagaek is sung and recorded by late pansori Master, Kim So-hui(1917-1995). The Yeokryeogwagaek is about world we live in, metaphorically describing life as a wonderer and his or her resting places throughout the life-long journey. The composer of the song is unknown, but scholars speculate that it was composed around the 1960s. In this article I have extensively analyzed the compositional methods, especially focusing on musical expressions created by the combination between text structure and melodic component. Through my analysis, I have found four unique and distinctive features, which are as follow: first, although the text is written in a strict four-line structure, the song is set to the text by effective use of the combination between wonbakbuchim (each line of the syllabic counts of 4/4 parallels to one or half jangdan) and utbuchim (syncopated rhythmic and text settings), thus for avoiding simplicity and repetitive quality; second, the three primary modes in pansori, including pyeongjo, ujo, and gyemyeonjo, are appropriately used to reflect the text of four-line poem—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giseungjeongyeol). For example, the first line is sung in pyeongjo evoking the peaceful and calm mood, while the second line is intersected and repeated by using both pyeongjo and ujo, which reflect the development of the poem. In the third line the song introduces new mode, gyemyeonjo, sporadically appeared between pyeongjo and ujo, representing the turn of the poem. In the last line, since the core of pansori (sung drama) singing is heavily relied on expressing dramatic plot and situations(imyeon), both onomatopoetic and mimetic sounds are effectively delivered by using a wide range of pitches, as well as by manipulation of the given jangdan, overall, reflecting the contrasting and elusive meanings of the text; fourth the song is composed for professional pansori singers. In pansori the free use of modulations(byeonjo) and transpositions(byeoncheong) is essential and those can fully achieved by the skilled singers with the years of training. The practitioners of pansori fully understand the subtleties of the functions and performance techniques for each constituent pitch within a given melodic mode, which can freely be shifted to other modes during the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e song is the perfect example in reflecting the beauty and style of pansori tradition.

한국어

단가 <역려과객(逆旅過客)>은 ‘세상은 여관과 같고 인생은 나그네와 같다.’라는 뜻으로, 1969 년에 지구레코드공사에서 발매한 단가집에 김소희(金素姬, 1917~1995) 창으로 실려 있다. 이 단가는 1960년대 창작된 단가로써 작사자와 작창자는 미상이다. 김소희가 부른 단가 <역려과객> 의 사설 구조와 음악의 표출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추한 작창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통 4․4조 운율의 사설을 원박붙임과 엇붙임을 효과적으로 씀으로써 긴장과 이완 주기 가 나타나 규칙적인 사설에서 오는 단조로움이 상쇄되었다. 둘째, <역려과객>의 사설은 여정에 따라 4단락으로 나눌 수 있고, 이는 한시의 절구 방식인 “기승 전결”과 유사하였다. 악조가 이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단락 A에서는 평조로 차분하고 담담하게 전반을 내었고, 단락 B에서는 평조를 받아 평조와 우조를 교차 반복함으로써 발전시켰으며, 단락 C에서는 기존의 평조와 우조에 계면조 선율을 간헐적으로 씀으로써 새로운 변화를 두었고, 단락 D에서는 평조로 시작한 후 전반을 우조를 주장하여 부르다가 다시 평조로 담담하게 마무리했다. 셋째, 단가도 판소리와 같이 이면을 중시하는 음악이기 때문에, 의성어나 의태어는 음의 고저 와 장단을 살려 사실감 있게 표현하였고, 댓구 대비되는 사설은 선율 또한 댓구 대비를 이루었다. 넷째, 분석에 드러난 악조의 변조와 변청은 전통적으로 실기인들이 근육화 된 소리 기량과 공력으로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그래서 변조나 변청의 경계가 매우 자연스럽게 흘러간다. 전통음 악인들은 구성음의 성격과 기능을 완벽하게 체득한 상태에서 여러 가지 선율 길들을 서로 넘나들 도록 단가 <역려과객>을 완성했다고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단가 <역려과객>의 사설
 3. 단가 <역려과객>의 단락별 분석
 4. 단가 <역려과객>의 음악적 구성 정리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역려과객> 장단보, 오선보

저자정보

  • 김수미 Kim, Su-Mi. 백석예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