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inging Practice and Voice Timbre of Popular Genre, Neo-folksong Articulating National and Urban Identity After the 1930s -Focus on Seodo-style Neo-folksong-
초록
영어
The new genre of Neo-folksong was not accidentally made for industrial purpose using folksongs easily from the 1930s. It was the product that was made into e clectic urban style capturing the entire Korean folk songs deliberately. In this article, I found that modal syntax(the function of the note and sigimsae) and form of the song(Seodo menari-folksong) and singing practice(melismatic singing) of Seodo-folksong made a direct impact on Neo-folksong genre, and I classified it Seodo-style Neo-folksong. The notes of Neo-folksong is similar to Kyeongki-style Neo-folksong, but it is different from Kyeongki-stylistic Neo-folksong in modal syntax, form, and singing practice. On this point we could know Neo-folksong was systematically made of the folksong style of each region. Neo-folksong not only responded to interpellation of national culture with the stylistic similarity in the folksong of the each region, but also accepted the soft and clear voice timbre as ballad inherited in Korean musical culture of the pre-modern city. Therefore, Neo-folksong has been accepted as a national and urban genre. Further, stylistic eclecticism of Neo-folksong have a advantage to articulate various ideologies and values concentrated in the city since the 1930s. It could be able to recreate folk images with modal syntax, form, and singing practice and to express the urban world with voice timbre descended like gagok and modern world major-minor tonality from west. These are allowing audiences to accept Neo-folksong voluntarily as a style that adjuste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hich had opposing opinions. As a result Neo-folksong could grow rapidly, eve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bout ten years.
한국어
신민요는 1930년대 이후 산업적 필요에 의해 사업상 접근하기 손쉬운 민요를 우연히 활용한 것이 아니라 당시 전조선에서 불렸던 민요를 의도적으로 포착하여 도시적 양식과 절충한 결과물 이었다. 이 글에서는 서도민요의 음구조(음의 기능과 시김새)와 형식(서도 긴아리계 민요) 그리고 창법(멜리스마부의 가창 실천) 등이 신민요 창작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신민요를 서도계 신민요라 정리했다. 서도계 신민요의 음구조는 경토리계 신민요와 구성음에서 유사하지만 음의 기능과 시 김새, 창법, 노래의 형식 등에서 구별된다. 이 글을 통해 서도계 신민요가 확인됨으로써 신민요는 각 지역의 민요 양식을 체계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을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 신민요의 양식적 절충은 1930년대 이후 도시에 집중된 다양한 이념과 세계관을 구현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신민요는 민요의 음구조와 창법을 통해 민속적 세계를 재현할 수 있었고, 가곡의 발성법이나 장단조 조성을 통해 도시적 세계와 근대적 세계를 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들은 당시 수용자로 하여금 신민요를 사회 구성원 간의 차이가 조정된 양식으로 자발적으로 받아들이게 했고, 그 결과 신민요는 10여년 간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급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다. 신민요가 전국의 민요와 양식적 연관성을 맺었던 점은 당시 조선문화에 대한 민족적 호출에 응대 할 수 있게 했고, 또 전근대 도시의 가창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선택한 맑고 고운 음색을 내는 발성법은 신민요의 도시적 산물로서의 양식적 완성을 가능케했다. 그 결과 신민요는 민족적 이면서도 도시적 갈래로 수용될 수 있었다.
목차
1. 머리말
2. 서도민요의 음구조와 창법
3. 서도계 신민요의 양식적 특징
4. 신민요 양식의 도시적ㆍ민족적 표명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