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농악의 무형문화재 지정

원문정보

Designation of Nongak(Farmers’ Performanc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임형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lklore(traditional culture) has been recognized as the cultural identification of our people as we went through the rapid attacks of industrialization, modernization, and westernization. The policy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national awareness to protect the vanish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olicy which was designed for the safeguarding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dopted the concepts of domain and prototype to specify the subjects in need of safeguarding. The Cultural Heritage Bureau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and Information, which was the previous organiz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as responsible for operating the policy while the committee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specialist group established by the Bureau, also deeply involved in the designation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thesis analyzes the process and reason of the designation of nongak,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examining the proceedings of the committee of cultural heritage. Nongak apparently shows regional characteristics because the element transmitted over the country is classified according to cultural areas. It was firstly designated as the only single element which represents Gyeongsangdo cultural area after the recommendation of the committee and the filed survey by specialists. However, the principle has been changed to designate representative nongaks by cultural areas through the nation wide survey since the1970s. Twenty two years later of the last designation of nongak in 1988, the new one additionally registered in 2010. The additional designation has more meaning than the new one was just added on the list. Has the current criteria classifying the sort of nongak been changed or the paradigm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ifted? The answer to those questions would be found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additional designations and its future transmission condition.

한국어

민속 문화(전통문화)는 산업화ㆍ서구화ㆍ현대화를 겪으면서 우리 민족의 문화적 상징 으로 인식되었고, 이를 보존하기 위한 국가적 인식이 구체화된 것이 무형문화재 보호제 도라고 하겠다. 보호와 전승을 목표로 설계된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는 보호 대상을 구체 화하기 위해 종목, 원형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문화재관리국(현재 문화재청)이 설립되어 제도 운영을 담당하였으며, 문화재위원회는 전문가 집단으로서 중요무형문화재 지정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전통 예능인 농악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유와 과정을 문화재위원회 회의록을 통해 살펴본 글이다. 농악은 전국적으로 전승되는데 몇 개 문화 권역으로 구분 되듯이 뚜렷한 지역별 특징을 가지고 있다. 농악은 처음 경상도 문화권을 대표하는 한 곳의 농악이 지정되었다. 이때는 문화재위원회의 추천과 전문가의 현지조사 를 통해 지정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로는 전국 조사를 통해 한국 농악의 전국적 현황을 파악한 후 문화권별 대표 농악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전국의 농악을 조사하여 마지막으로 지정한 것이 1988년이었는데 22년이 지난 2010 년 새로운 농악이 추가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추가 지정은 단순히 새로운 농악이 하나 더 추가된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농악을 구분(또는 분류)하던 지금까지의 개념이 변화한 것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무 형문화재 보호의 패러다임이 변화한 것인가. 추가 지정 여부나 최근 지정된 농악의 향후 전승 양상이 그 질문에 대한 답이 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무형문화재 보호를 위한 지정ㆍ종목ㆍ원형
 3. 농악의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형진 Lim, Hyoung-Jin.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