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宮內廳書陵部藏 『春秋経伝集解』 鎌倉中期点의 反切上字 考察 - 舌ㆍ齒音字를 中心으로 -

원문정보

Contemplation on Fanqie Top Words in the Middle of Kunaichoshoryobuzo “Chun qiu jing zhuan ji jie” Kamakura - Focusing on tongue sounds and tooth sounds -

궁내청서능부장 『춘추경전집해』 겸창중기점의 반절상자 고찰 - 설ㆍ치음자를 중심으로 -

申智娟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 far, it was checked whether the Confucian classics acknowledged “Jingdian shiwen” (經典釋文) as the base data of Fanqie (反切), as discussed before, in comparison with Fanqie & Douonjichu (同音字注) in the Middle of Kunaichoshoryobuzo “Chun qiu jing zhuan ji jie” (宮內廳書陵部藏 “春秋経伝集 解”) Kamakura (鎌倉) and Soukokusougenteishubon “Jingdian shiwen” (宋刻 宋元遞修本 “經典釋文”). Furthermore, Fanqie Top Words were analyzed and tongue sounds and tooth sounds were targeted representing the distinct features due to the limited pages of the research paper. Their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Bun-ei-ten” (文永点) and Fanqie & Douonjichu of “Sou-han-pon” (宋版本) showed that they were in agreement at the average of 95%. It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discussions that the Confucian classics acknowledged “Jingdian shiwen” as the base data of Fanqie.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a few rhyme books other than “Jingdian shiwen” were quoted in this material. 2) “Jingdian shiwen” , representing the Fanqie phenomenon of Perio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s known to be quite similar to Sino- Japanese Go'on. Presumably, “Bun-ei-ten” , a material of Sino-Japanese Kan'on , acknowledged “Jingdian shiwen” as the base data of Fanqie by a routine custom. As “Jingdian shiwen” compiled the Onchu (sound marks, 音注) of the scriptures, the Confucian classics were surmised to quote the Fanqie of “Jingdian shiwen” , which was already conventionalized. even 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aterials of Sino-Japanese Kan'on and pronunc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tream of times. 3) There were only 4 examples never used among Fanqie used only in “Bun-ei-ten” in the tongue sounds and all Hisetsuzi (all letters with Fanqie , 被切字) and Fanqie Top Words are in agreement with their initials. In Japan, tongue-head sounds and tongue-up sounds are not distinguished without the sources of these examples being indicat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quoting other rhyme books. 4) In the light of the analysis results of Fanqie used only in “Bun-ei-ten” in the tooth-head sounds, Fanqie Top Words were mixed.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no complex classification, such as the tooth-head sounds, tooth-up sounds, and true front-tooth sound of tooth-head sounds in Japan, which does not reflect this phenomenon.

한국어

宮內廳書陵部藏 『春秋経伝集解』 鎌倉中期点의 反切·同音字注를 宋刻宋元遞修本 『經典釋文』과 비교하여 기존의 논의대로 經書가 『經典釋文』을 反切의 依據資料로 삼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反切上字를 분석하였으며, 紙面의 제한으로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는 舌音과 齒音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징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1) 文永点과 宋版本의 反切·同音字注를 비교한 결과 평균 95% 일치하였다. 經書 는 『經典釋文』을 反切의 依據資料로 삼는다는 기존의 논의와 일치하였다. 그러나本資料는 小數이기는 하나 『經典釋文』 이외의 韻書도 인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 『經典釋文』은 魏晉南北朝의 反切事象을 나타내며 이는 日本吳音과 유사성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漢音資料인 文永点이 『經典釋文』을 反切의 依據資料로 삼은 것은 관습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經典釋文』이라는 것은 經典의 音注를집대성한 것이므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漢音資料와 발음이 맞지 않는다 하더라도 經書는 『經典釋文』의 反切을 인용하는 것이 이미 관습화 되어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3) 舌音에서 文永点 獨自의 反切 중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는 용례는 4개뿐으로, 모두 被切字와 反切上字의 聲母가 일치하고 있다. 일본 내에는 舌頭音과 舌上音의구별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용례는 出典이 표기되어 있지 않을 뿐 他韻書를 인용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4) 齒音에서 文永点 獨自의 反切을 분석한 결과, 反切上字가 혼용되고 있다. 일본내에는 齒音의 齒頭, 齒上, 正齒音과 같은 복잡한 구분이 없어 이를 반영하지 못한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1. 연구 자료
  2. 연구 목적 및 방법
 Ⅱ. 본론
  1. 文永点의 反切·同音字注
  2. 反切上字
 Ⅲ.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申智娟 신지연. 히로시마대학 교육학연구과 문화교육개발전공 박사과정후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