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nvestigated esthetic consciousness per type that researchers emphasized in common while collecting various research output based on the points of several researches meantime, i.e. the spirit of Confucianism , Buddhism , and Taoism ideologies was the origin of Korean esthetics, beginning from a question about the period when the ideas had been introduced in the researcher's own method. That is, as the answer to the questions as, which ideology ruled Korean ideology from then on, also, how did it prepared the basis of the esthetics of Korea? and what became the origin of Korean esthetics since the modern times when Christianity was introduced and Confucianism faded, considering period of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r period of the Three States, or the prehistoric times by going back to the periods, this research derived ‘Shamanism’ that had fundamental influence on Korean esthetics. To do 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several advanced researches based on the viewpoint from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determining the religion that directly expresses the raw and primitive nature of human that appeared in the view of faith of the ancient Northeast Asian people and Korean Shamanism considering the relations between religion and art, studying various phenomena based on it. Also, this research introduc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hamanism and Korean people's life and art was influenced by free Shamanism, and considered various phenomena that it has influenced modern Korean people so far. In the text,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the esthetic consciousness including Korean race's unique Shamanistic elements, e.g. joke (humor), deviation (exceptionality), etc. behind the crude and simple figure of folk culture included in visual formative art such as painting (including folk painting), jangseung, ceramics, and architecture, etc. among Korean artistic beauty from the viewpoint of Shamanism. In short,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this research was to view the origin of Korean esthetics, i.e. our culture, as ‘Shamanism’, since Korean people began with Shamanism and it is still based on the faith of people without disappearing during a long time until now, even going through the period of Three States, unified Silla, Goryeo, Joseon, Japanese colonial era, and Republic of Korea, according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origin of Korean esthetics is based on Shamanism, instead of Confucianism, Buddhism, or Taoism.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儒家나 佛敎, 道家 사상들의 정신이 우리 한국 미학의 근원이라는 그동안의 여러 연구의 논점1) 을 바탕으로 그 여러 연구 성과를 수렴하며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했던 미의식을 유형별로 살펴보면서도 연구자 나름대로 그 사상들의 유입시기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시작된다. 즉 유가나 불교, 도교사상들의 유입시기를 헤아려 보거나 혹은 그 이전의 삼국시대나 더 거슬러 올라가 선사시대를 생각해 보면 그때부터 무엇이 과연 우리 한국인의 사상을 지배했으며, 또 그것이 어떻게 한국의 미학에 바탕을 만들어 주었을까? 그리고 불교, 도가, 유가사상이 퇴색되고 기독교의 유입시기인 근대 이후에는 과연 무엇이 우리 한국 미학의 근원이 되었는가? 라는 의문에 대한 해답으로 본고에서는 우리 한국 미학의근원적 영향을 미친 것이 또 하나가 있다면 그것이 바로 ‘샤머니즘’이라는 것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선행 연구들을 불교적, 도가적, 유가적 입장에서 논한 연구를 나누어 살펴보고, 종교와 예술의 관계를 고찰해 보면서 고대 동북아시아 사람들의 신앙관과 우리 한국의 무교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원색적이고 원초적인 심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종교가 샤머니즘이라는 것을 밝히기 위해 거기에서 기인하는 여러 현상을 연구했다. 본론에서는 한국인의 삶과 예술에 있어 샤머니즘과의 관계를 자유분방한 巫敎적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소개하면서 한국인의 삶과 샤머니즘과의 여러 현상을 고찰해 본다. 그리고 샤머니즘의 관점에서 본 우리의 예술미 중에서 특히 회화(민화 포함), 장승, 도예, 건축 등의 시각·조형예술에 담겨있는 토속문화가 갖고 있는 투박하고 단순한 모습 이면에 익살(해학미), 일탈(파격미) 등의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샤머니즘적 요소가 깃든 미의식이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는 것을 발견해내었다. 한마디로 본고의 특징은 우리 문화, 즉 한국 미학의 근원을 그동안의 여러 연구이외에 또 하나의 관점, 즉 ‘샤머니즘’으로 보는 것인데, 그것은 우리 민족이 무교와 함께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고려, 조선,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을 거치면서도 지금까지 ‘무교’는 기나 긴 시간 동안 죽지 않고 기층민의 신앙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므로 자연스레 한국 미학의 근원은 유가나 불교, 도가사상뿐만 아니라 샤머니즘에도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을 제시한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종교와 예술의 관계
Ⅲ. 샤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한국미학
1. 한국인의 삶과 샤머니즘
2. 샤머니즘의 관점에서 본 한국 미학
Ⅳ. 맺음말
그림 목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