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Image Composition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amboo Mudguard with Gilt-bronze Openwork from Cheonmachong Ancient Tomb
초록
영어
The gilt-bronze decorated bamboo mudguards with heavenly horse design excavated in 1973 at Cheonma Tomb of Shilla are the unprecedented relics in Korean history as it has its original structure. Although the bamboo mudguards were excavated in not only Cheonma Tomb, but also in Geumgwanchong and Geumryeongchong, all of them remains into pieces. In addition, there are no exact data related with its structure and manufacturing technique. The report deals with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bamboo mudguards with heavenly horse design excavated in Cheonma Tomb through the naked eye’s observation, X-Ray Fluorescence, and Transmission X-rays analysis etc. Bamboo mudguards basically have the three divided structure with central-focus structure of a radiation style. And the mudguards consists of Bratticing gilt-bronze, fabric, and bamboo plates together, as ornamental fringe of 4 plates. The surface of the gilt bronze plates was decorated with a variety of workmanship and pendant. Bamboo plates have a waved pattern by using about three hundred bamboo bark. Two types of textiles were mainly found in the textile plates, and the leather were partially found. In order to combine all plates together, gilt-bronze bottonhead, pendant decoration, and ornamental fringe were used. It would be helpful to study bamboo mudguards during 5th.6th centuries in Shilla period and basis investigations of Geumgwanchong and Geumryeongchong excavations.
한국어
1973년 천마총에서 출토된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장니는 대부분 온전한 형태를 갖춘 국내에는 유례가 없는 유물이다. 죽제 장니의 출토 사례는 천마총 외에도 금관총·금령총 출토품이 있으나, 모두 편으로만 존재하여 정확한 형태나 제작기법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고에서는 천마총에서 출토된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장니의 화면구도와 제작기법에 대해 육안관찰과 X선형광분석(XRF), X선투과분석 등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죽제 장니는 3등분할구조를 기본으로 방사선 형태의 중앙집중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표면을 장식한 10매의 투조금동판과 직물판, 죽제판 그리고 외연을 고정시켜주는 4매의 복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동판에는 다양한 세공법과 영락장식으로 표면을 장식하였고, 죽제판은 약 300개의 대오리를 사용하여 세올짜기를 바탕으로 집수를 넣어 엮음으로써 물결무늬를 표현하였다. 직물판은 2종류의 직물을 사용한 것으로 관찰되며, 가죽은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판으로 제작되었는지는 확인 할 수 없었다. 각 판을 결합하기 위해서 금동원두정과 영락장식, 복륜 등을 사용하였다. 이번 조사로 금관총·금령총 출토품에 대한 기본조사와 함께 5~6세기 신라시대 죽제 장니의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장니의 종류와 구성
3.2. 죽제 장니의 구도와 예술성
3.3. 금동투조판 제작방법
3.4. 죽제판의 제작방법
3.5. 장니의 결합방법
4. 결론 및 고찰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