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cientific Analysis and Provenance Study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Dongchon Site in Sunchang, Jeollabuk‐do, Korea
초록
영어
Lead isotope ratio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Dongchon Site in Sunchang have determined by TIMS. As results of comparison lead isotope ratio of bronze objects with the provenance data of galena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provenance of three material of bronze objects were turned out to originate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 of China. On the other hands, data were plotted either in zone 3 of the South Korean galena map. The results of these scientific analysis of bronze objects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comparison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 provenance of bronze objects to be found in the future.
한국어
전북 순창 동촌유적 출토 청동기 4점에서 수습한 극미량의 시료를 대상으로 청동기 제작에 사용된 원료의 산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납동위원소비 분석 결과를 동북아지역 방연석 광산 분포도 및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와 비교한 결과 동부는 출토지와 인접한 옥천변성대 및 영남육괴지역, 나머지 3점은 중국 북부의 원료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익산 용제리유적 출토 세형동검 및 완주 덕동유적 출토 청동기 일부와 동촌유적 출토 동부의 경우 원료 산지 분석 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근의 유사 지역에서 입수한 원료를 사용하였거나 동일한 공방에서 제작하여 여러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유사지역 출토 청동기의 원료 산지에 대한 추가 연구와 더불어 본 연구결과를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초기철기시대 전북지역 청동기의 원료 산지 및 유통 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산지추정
4. 고찰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