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eterminants of Korea-ASEAN Seaborne Trading Volume : Time Series and Panel Data Analyses

원문정보

한국의 對 ASEAN 해상물동량의 결정요인 : 시계열과 패널기법의 적용

Kim Chang-beo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and dynamic causality of seaborne trading volume between Korea and ASEAN countries. The seaborne trading volume depends on factors such as the industrial activity in Korea, China, and Japan (NEAIP),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s of Korea won (KREER), and the shipping market cycle (SMC). In this respect, the time-series estimation results of fully modified OLS (FMOLS), dynamic OLS (DOLS), and canoncial cointegration regression (CCR) models show that 1% increase in NEAIP and SMC increases the Korea-ASEAN seaborne trading volume by 2.942-3.155% and 0.182-0.269%, respectively. Moreover, 1% increase in KREER decreases the trading volume by 1.003-1.027%.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the augmented panel model, the dummy variables of Korea-ASEAN FTA (KAFTA) and global financial crisis (GFC) variable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findings in panel dynamic causality indicates that short-run bidirectional causality running from SMC to KREER, from KREER to NEAIP, from NEAIP to SMC, while SMC unilaterally affects the seaborne trading volume. Consequently, Korea’s policies should center on expanding trade with ASEAN countries, preparing for the volatility in BDI, monitoring China, Japan, ASEAN’s industrial activity and exchange rate fluctuations.

한국어

본고는 한국과 ASEAN 간 물동량의 결정요인을 시계열기법과 패널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시계열분석 결과, 단위근이 존재하고 불안정적인 변수들 간의 선형관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장기균형식 추정방법인 FMOLS, DOLS, CCR를 이용하여 장기균형관계를 분석한 결과 BDI와동북아시아 경기의 1% 상승 또는 호조는 각각 물동량을 2.942%-3.155%와 0.182%-0.269% 증가시키는 것으로, 원화의 실질실효환율 1% 상승은 물동량을 1.003%-1.027%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널분석 결과 패널변수들은 수준 불안정적이고, 불안정적인 패널변수들 간에는일정한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패널 장기균형식 추정방법인 패널 FMOLS와 패널 DOLS기법을 적용한 결과, 해운경기, 동북아시아 경기, 실질실효환율은 시계열 분석 방법과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한·ASEAN FTA와 글로벌 금융위기 더미변수를 포함시킨결과 두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FTA변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변수보다 더 큰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널 VECM 추정 결과, BDI와 환율, 환율과 경기, 경기와 환율간에 쌍방적인 동태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며, BDI는 물동량에 일방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rade and Logistics Structure
 Ⅲ. Literature Review
 Ⅳ. Model Specification and Estimation
 Ⅴ. Conclu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References
 Appendix
 요약

저자정보

  • Kim Chang-beom 김창범. Research Professor, Center for Regional Develop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