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MOEBA 기법을 이용한 일제강점기 경성 공업의 업종별 공간적 클러스터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Industrial Spatial Cluster of Seoul in Japanese Colonial Period Using AMOEBA Cluster Method

오창화, 김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nvestigates industries of Seoul (Kyungsung) under Japanese colonial period. As the major center of Chosun dynasty, Seoul had player central roles in industry in Chosun. Naturally, the analysis of Seoul industry is a key factor understanding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Many existing studies about Seoul industries only present descrip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lacking quantitative significance tests and confirmation. This study approaches Seoul industries in the colonial periods in quantitative perspectives using AMOEBA (A Multidirectional Optimal Ecotope-Based Algorithm). AMOEBA is a widely applied popular cluster analysis method. The cluster analysis result presents that Yongsan and south of Cheong-gyecheon (stream) were identified as cluster of metal, machine, wood, and chemical industry. Changsin-dong and north of Cheong-gyecheon were identified as cluster of textile industry. Residential segregation in two major ethnic groups (Korean and Japanese) are explained to play major influence forming ethnically divided spatial patterns in industries. Japanese were dominant in metal, machine, and wood industry while Korean were dominant in textile. Other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to urban center and railroad also influenced spatial distribution of industries.

한국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경성의 공업 분포를 업종별로 나누어 분석한다. 경성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중심 도시로, 당시 공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일제강점기 공업의 이해를 위해 경성 공업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경성 공업을 분석한 기존 연구는 공업 분포에 대한 정량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정성적・기술적인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근대 경성 공업의 정량적 분석을 클러스터 기법의 하나인 AMOEBA (A Multidirectional Optimal Ecotope-Based Algorithm) 기법을 통해 진행한다. 클러스터 분석 결과 금속과 기계 공업은 용산 일대와 청계천 이남, 방직 공업은 창신동, 청계천 이북에서 클러스터가 나타났으며, 제재업은 청계천 이남, 화학 공업은 용산 일대에서 클러스터가 탐색되었다. 금속과 기계 공업, 제재업 등은 일본인 공장이 우세하였으며, 방직 공업은 조선인 공장이 우세하여 민족별로 업종 집중의 차이가 있었다. 민족별 주거지 차이 외 도심 및 철도 접근성 등 다른 요소 역시 공업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목차

I. 서론
 II. 연구지역 및 데이터
  1. 연구지역
  2. 연구 데이터
 III. 연구방법
  1. Getis-Ord의 
  2. AMOEBA 기법
 IV. 연구결과
  1. 금속
  2. 기계기구
  3. 방직
  4. 식료품
  5. 인쇄 및 제본업
  6. 제재 및 목제품
  7. 화학
 V. 결론
 註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창화 Changwha Oh. 고려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
  • 김영호 Youngho Kim.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