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회자본의 유형에 따른 개인정보제공행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으로 매개변인으로 관계몰입과 정보의 혁신성을 사용하였다. 구조모형분석 결과, 학생은 개인정보제공하기 위해서 믿음과 신뢰가 기반이 되는 사회자본은 개인정보제공을 직접적으로 하게 되지만 정보교류의 차원의 사회자원은 직접적으로는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관계몰입과 혁신성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한 유대관계로 연결된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가교적 사회자본의 경우는 직접적으로 개인정보 제공하지 못하며, 관계몰입과 혁신성을 통하여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구적 사회자본과 가교적 사회자본은 유사한 패턴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속적 사회자본은 혁신성과는 무관하며, 관계몰입을 매개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한 유대관계가 형성된 네트워크의 경우는 관계몰입이 확보되어야만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인은 개인정보를 제공받기위해서는 가교적 사회자본 즉, 약간 유대관계가 구축되어야만 더욱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공하며, 결속적 사회자본으로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관계몰입이나 정보의 혁신성은 전혀 개인정보제공에 매개 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는 다양한 사회자본의 유형에 따라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유형이 달라지며, 학생과 일반인들이 추구하는 사회자본의 유형에 다른 관계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사회자본과 관련되어 개인정보제공의 유형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목차
Introduction
사회적 자본
관계 몰입
연구방법
연구모형
연구대상
측정변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사
연구결과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