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李世輔의 현실인식과 문학적 대응 - <농부가> 다시 읽기 -

원문정보

Lee Se-bo's awareness of social reality and his way of adaptation - Re-reading of <Nongbuga>

이세보의 현실인식과 문학적 대응 - <농부가> 다시 읽기 -

신성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confirmed his aspect as a politician through his work . It is stanzaic sijo composed with 12-stanza singing the farmer’s daily life throughout the four seasons. However, the speaker of this sijo is not a farmer but a politician emphasizing the key requirements in farming for example, diligency, the proper time, weather and so on. In other words, he expressed sympathy with farmer’s life, but never assimilated with it. The latter half is mostly about the farmer’s pain caused by heavy tax and interest and the way to get out of those. On this matter, Lee Se-bo did not care about the current national governing system, either. He only presented moral requirement such as saving, moral training and contentment as the solution of real problem that farmer’s suffering from. In short, is a literary response of the problem he witnessed and a political text reflected the author’s desire to maintain the current governing system more thoroughly with setting up the moral and economic regulations through personal enlightenmet. This thesis is to review how Lee She-Bo, who lived in 19C, responded the reality of his era as a politician, and also translate his work based on his point of view. Lee Se-Bo had a relatively smooth life served King Cheoljong, Kojong and regent Heungseon, even though he was exiled for three years as a member of royal family. As he belonged to the upper class, he has firm beliefs of its order and ideology. It is why he tried to face the problematic situation in reality through the enlightenment. He personally found the clue to solution of the problem through the enlightenment because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e national governing system. He thought even the petty officials of a provincial town also belonged to those who he administered, so he applied his idea not only to the lower class people but also to them.

한국어

본고는 19세기의 인물 이세보가 爲政者로서 어떠한 시각에서 현실을 바라보고 대응했는지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그의 시조 작품 <농부가>를 해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세보는 왕실의 종친으로 비록 3년여의 유배생활을 겪기도 했지만, 철종, 고종 및 흥선대원군의 비호 속에 고위관직을 두루 거치며 비교적 평탄한 관직생활을 보냈다. 그런 만큼 현재의 지배질서와 이념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었고, 현실에서 벌어지는 문제적 상황을 ‘敎化’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왕을 위시한 국가적 차원의 지배체제에는 문제가 없기에 교화라는 개인적 차원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던 것이다. 이러한 면모는 백성들뿐만 아니라 하급관리인 아전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되었는데, 이는 아전 또한 자신이 관장해야 할 백성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농부가>에도 이세보의 이러한 위정자로서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농부가>는 12수로 구성된 연시조 작품으로, 봄(3수)에 농사를 시작해서 여름(2수)을 거쳐 가을(2수)에 곡식이 익을 때까지를 노래한 전반부[前 7수]와 추수 후(2수)의 슬픔과 교훈적 내용을 담은 총론(3수)으로 이어지는 후반부[後 5수] 등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농가의 일상을 노래했다. 하지만 이때의 화자는 농민이 아니라 爲政者로서, 권계의 태도로 근면·適時·날씨 등 농사에서 중요한 요건들을 강조한다. 즉 농민들의 삶에 共感의 시선을 보내기는 하되, 냉철하게 자신의 위치를 지킬 뿐 同化에까지 이르지는 않았던 것이다. 후반부에는 과도한 세금과 이자로 수확 후에도 고통 받는 백성의 모습과 그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나름의 대안이 주된 내용이다. 하지만 여기서도 이세보는 현재의 지배질서에 기반을 둔 제도적 차원에는 눈길을 주지 않는다. 勤儉節約, 修身, 知足 등 농민들 스스로의 도덕적 함양이 요구되는 해결책을 제시할 뿐이다. 체제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기에 敎化를 통한 개인의 통치를 그 대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요컨대 <농부가>는 작가가 목도한 문제에 대한 문학적 대응으로, 게으름에 대한 경계에서부터 修身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敎化를 통해 도덕과 경제의 규율들을 설정함으로써 보다 완정하게 현재의 체제를 유지하고자 했던 작자의 욕망이 투영되어 있는 정치적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의 소재
 2. 위정자로서의 현실인식과 대응의 방식
 3. <농부가>: 현실에 대한 문학적 대응
  3.1. 화자와 농민 사이의 거리
  3.2. 敎化의 수사학과 체제 유지의 욕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성환 Shin, Seong-hwan. 고려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