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872년 지방지도』에 나타나는 조선 후기 지역 사회의 특수성 - 함경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1872 antique County maps』the uniqueness of the community that appear on Late-Joseon Dynasty - The center of Hamgyeong Province

문상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oughout the 19th century, the political situation in Joseon was not very favorable either at home or abroad, and during the period, Heungseon Daewongun came to power. In order to overcome the present situation, he strived to strengthen the centralized system of government. In 1872, he finally took hold of national financial and military authorities, and in the same year, 『1872 Regional Maps』was completed. This map is a detailed map of each region, and considered to be the last map published by the government in Joseon period. Old map represents its time period and social identity with images in a comprehensive way.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Haedong-jido』, which was made around 100 years prior to the 『1872 Regional Maps』, and the 『Kwanbuk upchi』, which was made in the previous year, thereby understanding its distinctive features and its time period when the 『1872 Regional Maps』 was made. 『Haedong-jido』is a topographic map made by the government’s authority. Whereas the 『1872 Regional Maps』is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as a thematic map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ty. It is clear that the 『1872 Regional Maps』 was influenced by the 『Kwanbuk upchi』, however it did not exactly copy by modifying and adding new information. It reflects that each local community continued to accumulate and modify humanistic and natural information. 『1872 Regional Maps』 represents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tate and this is resulted from strengthening the centralized regime by Heungseon Daewongun. 『1872 Regional Maps』is an important resource to understand the local communities of Joseon in 19th century. Besides, the map of North Korea including Hamgyong province area is a crucial historical material as the information on North Korea has had a limited access.

한국어

19세기 조선은 내외적으로 혼란스러웠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정권을 장악한 흥선대원군은 대내외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중앙집권체제 강화에 힘썼다. 1872년에 재정권과 군사권을 완전히 장악하였으며, 같은 해에 『1872년 지방지도』가 완성되었다. 이 지도는 각 지방의 자세한 지도로 조선시대 관찬지도(官撰地圖) 제작사업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고지도에는 제작 당시의 시대상과 사회적 인식이 이미지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1872년 지방지도』보다 100여 년에 제작된 『해동지도』, 한 해 전에 제작된 『관북읍지』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1872년 지방지도』의 특수성과 당시의 시대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해동지도』는 중앙이 중심이 되어 제작된 지도로 지형도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1872년 지방지도』는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어 제작된 주제도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특수성이 더 잘 드러난다. 『1872년 지방지도』는 『관북읍지』의 영향을 받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을 그대로 그린 것은 아니며, 『관북읍지』보다 자세하고 잘못된 정보는 수정을 거쳤고 새로운 정보는 추가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각 지방에서 끊임없이 지역의 인문․자연정보를 새롭게 축척하고 수정해 나갔다는 것을 반증해준다. 『1872년 지방지도』에는 체계적 국가 운영체계가 상징적으로 잘 드러나며, 이것은 흥선대원군의 중앙집권체제 강화의 결과물 가운데 하나이다. 『1872년 지방지도』는 19세기 후반 조선의 지역사회 모습을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더욱이 북한에 대한 정보와 접근의 한계를 가지는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함경도 등 북한지역의 지도는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한국의 고지도 연구와 『1872년 지방지도』
  2.1. 고지도 연구의 확대
  2.2. 『1872년 지방지도』에 대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
  2.3. 조선 후기 지역사회의 이미지 『1872년 지방지도』
 3. 관북읍지와 『1872년 지방지도』
  3.1.『관북읍지』와 『1872년 지방지도』두 지도의 표현과 내용이일치하는 경우 : 영흥부, 정평부, 삼수부
  3.2.『관북읍지』와 『1872년 지방지도』두 지도가 유사한 경우
 4. 『해동지도』와 『1872년 지방지도』함경도 부분
  4.1. 읍치를 중앙에 배치한 『1872년 지방지도』
  4.2. 자연지형의 변화 추론
 5. 『1872년 지방지도』를 통한 지역사회 유추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상명 Moon, Sang-myeoung. 미국 남가주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