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디지털 인문학과 고전문학의 만남

누정기(樓亭記)의 디지털 정보화 설계

원문정보

Designing Digital Database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

박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is one of popular essay genre (記文) amo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is kind of writing is accessible online through Korean classics (http://db.itkc.or.kr/) and Hanstyle-Hanok site (http://www.kculture.or.kr/). While researchers can access the original source with convenience, some shortcomings exist. For example, while both sites only provide the original Chinese writing, its translation, and annotation, users cannot have access or search option on author, house owner, the time of its writing, the location of the house, a list of related writing, a list of writing by the same author, and research papers on the writings. In addition, the search engine can be upgraded to have related search option (i.e. searchable using associated words). Furthermore, the search engine might provide human relations network among the owner, writer and other related individuals. Using this information, we might get a glimpse on the trend of literature during that time.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design of digital database as well as empirical example of its use. For example, on 3rd chapter, I provide an analysis on by Park, Paeng-nyeon(朴彭年). On 4th chapter, I present the model for designing digital database which can be applied to most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This model aims at Semantic Web which requires Ontology (i.e. a detailed digital document that contains relevant information as well as its meaning). For Ontology, I follow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OWL(Web Ontology Language). On fifth chapter, I discuss how researchers can utilize this model.

한국어

한문학 장르 중의 하나인 기문(記文) 중에서도 집에 관한 글인 누정기(樓亭記)는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 선인(先人)들이 매우 즐겨 썼던 문장 양식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누정기의 원자료는 온라인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한국고전종합DB와 한민족 정보마당>한국전통옛집 사이트에서 열람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환경만으로도 연구자에게 큰 편리함을 주고 있으나, 보다 발전된 디지털 정보화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가 제안하는 누정기 디지털 정보화의 목표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누정기 한 편을 보게 되면 원문과 번역문, 주석만 열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필자 정보, 집주인 정보, 집필연대, 대상으로 한 집의 현존 여부, 현존할 경우 그 위치, 대상으로 한 집과 연관된 모든 누정기 목록, 해당 필자가 쓴 모든 누정기 목록, 이 누정기에 대한 연구 정보 목록 등을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둘째, 누정기 전반에 대한 검색 시스템이 보다 고도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의 사이트에서는 누정기 제목이나 내용 안에 해당 글자가 포함돼 있어야만 검색이 가능한 시스템이지만, 해당 글자가 없더라도 그 누정기에 관한 중요 정보들로도 검색이 되고, 연관성이 높은 정보들까지 자동으로 검색이 된다면 상당히 유용할 것이다. 셋째, 누정기 지식 정보들 간의 관계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집주인은 아무에게나 글을 청탁하지 않으며, 필자도 아무에게나 글을 써주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필자와 집주인의 관계는 중요성을 갖는데, 이들 간의 인적 네트워크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대단히 흥미로울 것이다. 이외로도 다양한 관계 양상을 상정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목표 아래 3장에서는 여러 누정기 가운데에서 박팽년(朴彭年)의 <쌍청당기(雙淸堂記)>를 샘플로 하여 자료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4장에서는 누정기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정보화 모델은 시맨틱 웹(Semantic Web)을 지향하며, 시맨틱 웹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정보의 의미와 관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명세서인 온톨로지(Ontology)를 작성해야 하는데, 국제적으로 표준이 되는 언어인 OWL(Web Ontology Language)에 의거하여 누정기 정보화 모델을 설계하였다. 5장에서는 앞에서의 논의를 정리하면서 누정기 디지털 정보망이 실제로 구현된다면 연구자들이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지에 관해 서술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여는말
 2. 누정기 디지털 정보화의 목표
 3. 누정기 샘플 자료 분석: 박팽년의 <쌍청당기>
 4. 누정기 정보화 모델 설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순 Park, Soon.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