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디지털 인문학과 고전문학의 만남

나선정벌 서사의 시각화 콘텐츠 제작 방안 모색

원문정보

Research for a production plan for visualized content of the Northern Expedition to the Amur in 1658

권혁래, 김사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production plan for visualized content shown in a digital space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narratives and the related accounts of the Northern Expedition to the Amur in 1658. The authors of this study decided to create visualized content by utilizing digital humanaties perspective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GPS coordinates, locations, place names, and image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literature: Bukjeongrok, Baeshiwhangjeon, and Bukjeongilgi, and the in-situ surve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two specific objectives. First, visualized content of the Second Russian Conquest was developed by entering spatial and location information. Spatial and movement information such as place names, locations, GPS coordinates, properties of locations and the means of transportation were entered to create data, and then a representation of these was made using Google Maps. In the real work, the spaces related with the Northern Expedition to the Amur in 1658 will be hyper-linked with data such as photos and text that may aid the reader’s understanding. Second,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were also visualized. This will clearly show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and weight among individuals. To do this, the individual network will be made by extracting character information,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lationship. Implied by the digital huma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visual expression of the Northern Expedition to the Amur in 1658 based on research findings and related data for readers to enjoy in a digital space by applying digital IT and research methodologies. Researchers of classic literature and the digital humanities worked in collaboration to build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the content of this historical event in order to make visual expressions in a digital space. Through this fusion research frame, we expect to supplement what we have felt was lacking, gain new findings, and achieve more active communication with readers.

한국어

이 논문은 1658년의 제2차 나선정벌(羅禪征伐) 서사 관련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디지털 공간에 재현할 시각화 콘텐츠 제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필자들은 그동안 확보하고 분석한 <북정록>, <배시황전>, <북 정일기> 등의 텍스트 자료, 현장답사를 통해 축적한 사진과 지도 등의 이미지 정 보, 지명, 노정, GPS 좌표 등의 공간 정보를 디지털 인문학의 관점 및 디지털 정 보기술을 활용하여 시각화 콘텐츠로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구체적 목표를 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나선정벌의 공간 및 노정 자료를 데이터로 입력하여 이를 시각화 콘텐츠 로 제작하였다. 텍스트에 나타나는 지명, 노정, GPS 좌표, 지점의 속성, 이동방 법 등 공간/이동 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로 만들고, 이를 구글 지도로 표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제 작업에서는 각 지점의 공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진과 텍스트 등의 자료를 하이퍼링크를 걸어 나선정벌의 공간을 입체적으로 표 현할 것이다. 둘째, 나선정벌 서사의 인물관계를 데이터로 입력하여 이를 시각화 콘텐츠로 제 작하였다. 나선정벌 서사의 인물관계를 시각화하는 것은 인물의 관계 및 비중이 변화하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사건 속에 등장하는 인물 정보, 인물들 간의 관계, 관계 성격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물 네트워크를 작성할 것이다. 이상에서 시도한 노정 및 인물관계의 시각화 작업의 성과는 ‘문학 정보의 이미지화’ 및 ‘하이퍼링크’ 작업에 초점이 있다. 시각화 표현기술과 상상력에 아직 미흡 한 점이 있지만, 이러한 시도를 통해 아날로그적 연구와 디지털적 연구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용자들과 좀 더 활발히 소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여는말
 2. 나선정벌 서사의 시각화 요소 분석
  2.1. 문헌 정보
  2.2. 인물 정보
  2.3. 사건 정보
  2.4. 공간 및 노정 정보
 3. 노정 및 인물관계의 시각화
  3.1. 이동경로의 시각화
  3.2. 인물 관계의 시각화
 4. 닫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혁래 Kwon, Hyeok-rae. 용인대
  • 김사현 Kim, Sa-hyun.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