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근대적 미디어에 의한 조선관광(朝鮮觀光) 표상의 특징 - 잡지 『모던일본』조선판(1939, 1940)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to Joseon tourism by modern media in Colonial Joseon - Focused on the 『modern Japan』(1939, 1940) -

남도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nalyses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tourism in the articles of an entertainment magazine, (1939, 1940)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its editing planning and the representation of women, and tries to find its characteristics. can give us an opportunity for looking into the phases of that time stereoscopically as a magazine having attracted a great popularity in the 1930s. The magazine published the special editions for Joseon twice, in 1939 and 1940. These were the only special editions which the magazine in Japan(Interior) had tried dealing with Joseon(Outlier), which ‘double modernity’ a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odernity could be confirmed. Japanese modernity was set in the era of Showa and the magazine tried to incorporate the atmosphere of the era that is called as Showa Modern, in its contents. In this respect, it seems to be certain that the magazine had represented Japanese double modernity compressively. The era of Showa, different from the era of Taisho, was the period that relativized the western culture, emphasized Japanese things, and also tried to find out other possibilities with Japanese things rather than depended on one way imports of the western things. But this emphasis on Japanese things had gradually changed into fascism and then linked to the process of excessive self-deconstruction. published in the middle of time between these two wars, vividly reflected the atmosphere of the time that the efforts of searching for new possibilities with Japanese things just had came to the conclusion. It was appeared clearly as obsession of the Naeseon Ilche, "Korea and Japan are One", and the awe at Joseon women. This colonial gaze had shown the layered and ambivalent characteristics such as obsession, anxiety, agitation, envy and so on, which had been permeated not only in the editorial planning but also in its articles. This study started on the base of some advanced researches on , and kept considering the attributes of ‘double modernity’ of Showa modernism. It examined the editorial styles and the features of the remarks that the magazine represented Joseon women, while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colonial tourism, in other words the context of travels and tourism in Joseon, that had been actively spreaded out among the Japanese people. Through this examination focusing on published in 1939, 1940) the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Japanese modernization projects, that is to say ‘double modernity’, had failed on its way from the foundation of in 1930 to the publication of in 1939 and 1940.

한국어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출간된 대중오락잡지 『모던 재팬』조선판에서 드러난 조선관광 표상의 특징을 잡지 편집 구도와 여성 표상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다. 『모던 재팬』은 1930년대 큰 인기를 끌었던 잡지로 당대의 시대상을 입체적으로 살 펴볼 수 있는데, 특히 이 잡지는 1939년과 1940년, 두 차례에 걸쳐 조선판을 일종의 특집 기획으로 발간한 바 있다. 이는 당시 내지(일본)에서 유일하게 시도된 외지(조 선)에 대한 특집으로 ‘이중적 근대’란 일본의 근대성의 특징을 잡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의 이중적 근대가 특히 쇼와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이 잡지는 쇼와 모던이 란 시대적 분위기를 담아내려 했기 때문에 이 잡지는 일본의 이중적 근대의 모습을 압 축적으로 표상하는 측면이 있다. 일본의 쇼와 시기는, 다이쇼 시기와 달리 서구의 문물을 상대화했고 일본적인 것을 강조하면서 서구의 일방적 수입이 아닌 일본적인 것을 통한 다른 가능성을 모색 했던 기간이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적인 것의 강조는 점차 파시즘화하며 극단적인 자 기 파멸의 과정으로 연결되었다. 『모던 재팬』조선판의 간행은 일본적인 것을 통한 새로운 가능성의 모색이 결말에 도달하기 직전의 분위기가 생생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 양상은 특히 내선일체의 강박과 조선 여성에 대한 외경이란 양상으로 극명하게 드 러난다. 이런 식민주의적 시선은 강박과 불안, 동요와 선망 등 양가적이며 중층적인 특 징을 보이는데, 이런 면모는 잡지의 편집 구도는 물론 콘텐츠의 내용에 스며들어 있다. 본 논문은 아직 연구 초기 단계인 『모던일본』조선판에 대해 몇 편의 선행연 구를 바탕으로, 주로 1939, 1940년에 발간된 『모던일본』조선판을 쇼와 모더니즘의 ‘이중적 근대’란 속성을 염두에 두고 당시 활발하게 전개된 여행과 관광의 문맥, 즉 콜 로니얼 투어리즘(colonial tourism)적인 맥락을 고려하면서 잡지 편집 방식과 여성 을 표상하는 언설에서 드러나는 특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이는 1930년 『모던 재팬』의 창간에서 1939년과 1940년 『모던 재팬』조선판의 발행으로 이어지는 과 정이, 어떤 의미에서 일본적 근대 기획, 즉 ‘이중적 근대’란 기획이 실패였다는 사실을 『모던 재팬』조선판을 통해 확인하는 과정에 다름 아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쇼와 모던의 ‘이중적 근대’란 특징과 『모던일본』의 창간
 Ⅲ. 선만관광(鮮滿觀光)의 확대와 미디어의 역할
 Ⅳ. 『모던일본』조선판과 콜로니얼 투어리즘적 배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도현 Nam, Dohyu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