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본 중고문학에 나타난 문(門)의 일고찰

원문정보

The Representation of Doors in Japanese Heian-Era Literature

이부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ymbolic meaning of doors depicted in Japanese Heian󰠏era literature.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Shindenzukuri type of house. This paper is also interested in the structure of residences; however, I focused on ‘doors’ which divide spaces into separate rooms. A door plays the role of boundary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Furthermore, the opening and closing a door in literature may transform the life of a protagonist by changing the space in which he or she exists. Specifically, the doors in The Pillow Book, The Tale of Taketori, The Tale of Genji, and The Konjaku Tales are investigated. The narrow gate refers to the difficult situation of the writer. The middle gate, which is broken down partly, conn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The invasion at the middle gate in the house represents the disorder between two men. The compulsive opening of locked doors corresponds to the woman's mind and body are open to another existence. It also shows the protagonists move to the heaven or another unfamiliar place. The sliding door is a metaphor for the changing relationship of lovers. The behavior of opening the middle door made of wood illustrates one's mind is prepared to open for another person. The lattice window of the house is the symbol of brightness, unlike the hardly closed door. In conclusion, doors have deep connections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Doors are not ordinary background; they are very important and carefully arranged literary settings in Heian󰠏era literature.

한국어

본고는 일본 중고문학에 나타난 다양한 문의 모습을 각 작품의 문맥을 통해 분석하고 이야기 속에 배치된 문이 의미하는 바를 규명하고자 한 논문이다. 헤이안 시대 문학작품 속에 그려진 신덴즈쿠리 형식의 주거 공간에 대해서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선행연구를 통해 저택의 전체적인 구조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왔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공간을 나누는 경계의 역할을 하는 문에 주목하여, 문의 열림과 닫힘이 개방성과 폐쇄성이라는 두 가지 속성을 공간에 부여함을 지적하고, 작품 속에 묘사된 문이 주제의 형성에 있어 어떠한 문학적 역할을 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중고문학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으로 수필의 󰡔마쿠라노소시󰡕, 모노가타리 장르의 󰡔다케토리 이야기󰡕, 󰡔겐지 이야기󰡕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성립 연대는 다소 후대이지만 헤이안 시대의 이야기를 일부 수록하고 있는 설화집 󰡔곤자쿠 이야기집󰡕 또한 참조하였다. 이야기 속의 다양한 주거 공간 중에 신덴즈쿠리 저택의 대문과 중문을 비롯하여 일종의 방문인 누리고메의 문, 방과 방 사이에 종이를 발라 만드는 장지문, 가운뎃문, 판자를 덧대어 위로 올려 사용하는 격자문 등에 착목하여 문이 묘사되는 장면과 등장인물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했다. 중고문학 속에서 좁은 대문은 의지할 곳 없는 작자 일행의 처지를 상징하며, 허물어뜨린 중문은 주인공들 사이의 관계의 통로를 나타낸다. 저택의 중문에서 일어난 침입과 도망 사건은 저택 주인과 외부자, 두 존재 사이의 질서가 어긋남을 제시한다. 밀실인 누리고메의 문이 열리는 장면은 그 안의 인물들이 외부 세계의 침입을 받음으로써 다른 세계로 편입되어 감을 보여 준다. 걸쇠가 걸린 장지문은 남녀 관계의 단절과 격리를 의미하지만, 쉽게 열리는 장지문은 연애와 사랑을 의미하듯이, 장지문은 남녀의 유연한 관계를 그려가는 장치가 된다. 늘 닫혀있던 가운뎃문을 여는 행위는 상대방을 향해 한걸음 다가가는 행위를 의미한다. 굳게 닫혀 열기 힘든 문이 노쇠와 죽음을 나타낸다면 바람이 잘 통하게 높이 올려 둔 격자문은 젊음과 밝음의 상징이다. 이와 같은 고찰의 결과, 개방성과 폐쇄성을 동시에 갖는 ‘문’의 속성은 등장인물 사이의 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이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문은 배경에 그치지 않고, 각 장면의 문의 상징은 이야기의 전개를 이끌어가는 데에 있어 핵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저택의 대문과 중문
 3. 밀실 누리고메의 문
 4. 가운데 장지문의 상징
 5. 격자문 안팎의 풍경
 6. 나가며
 참고문헌
 References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이부용 Lee, Bu-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통번역학과 강사, 비교문학비교문화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