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공중보건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위한 계획된 행동이론과 집단적 효능감 검증 : 성폭력 예방에의 적용
초록
영어
The communication behaviors of human beings as independent objects and social animal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multilateral perspective. This study approached sexual violence prevention from two perspectives. From an individual level, the study tested the effects of the primary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From a collective level, it examined whether collective efficacy can increase individuals’ intention to support sexual violence prevention with other community members. Korean citizens (N = 270) participated in a Web survey. Results found that individuals’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intent to seek information about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treatment, which, in turn, led to their actual behavior. Moreover, collective 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support even after controlling trust toward other community members. These results suggest factors that can affect individual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and imply that collective efficacy should be facilitated for sexual violence prevention in community. Health campaign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will be able to develop effective campaign messages and policies for this public health issue.
한국어
독립된 객체와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은 다각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예방을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우선, 개인적 차원에서 이 연구는 건강정보 추구행동에 미치는 계획된 행동이론의 주요 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집단적 차원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성폭력 예방 지지 의도가 집단적 효능감에 의해 증대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실시된 온라인 설문(N = 270) 결과, 개인의 태도, 그리고 인식된 행위 통제가 성폭력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정보 추구 의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의도는 다시 실제 행동을 이끌어냈다. 그뿐만 아니라, 집단적 효능감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신뢰를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지지 행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정보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며, 집단적 효능감이 지역사회에서 성폭력 예방을 위해 촉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헬스 캠페인 실무자 및 정책입안자들은 이러한 공중 보건 이슈를 위한 효과적인 캠페인 메시지와 정책을 계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Introduction and Background
2. Theoretical Frameworks
1) Theoretical Foundations of Individual Health Communication Behaviors
2) A Theoretical Foundation from a Collective Perspective : Collective Efficacy
3. Methods
1) Data Collection
2) Measurement
4. Results
1) Testing the Constructs within TPB
2) Testing the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5. Discussion
6.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