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호혜적/공감적 소구 유형과 장애인 태도의 상호작용에 따른 돕기 메시지 수용 효과의 차이

원문정보

The Difference in Accepting a Message for Helping the Disabled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of Reciprocal/Empathic Appeal and the Recipients’ Pre-Attitude.

이승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ve effects of reciprocal/empathic appeal depend on the recipient’s pre-attitude shown persuasive messages for disabled people. Reciprocal/empathic appeal type is an improved and complemented form of rational/emotional appeal considering the theme of helping. Pre-attitude toward the disabled is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recognizes people with disabilities as having equal rights and freedo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clusion. One hundred and fifty participants were shown the messages advocating aid for the disabled with the experimental design of appeal type by pre-attitude. The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found in the results of messag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Reciprocal type was more effective to the individuals with higher pre-attitude than those with lower pre-attitude. Empathic appeal did not elicit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findings that emotional appeal was more influential than rational appeal in the delivery of messages for helping and provides the evidence that rational appeal can be more effective than emotional appe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 돕기 캠페인을 대상으로 장애인 태도에 따라 호혜적/공감적 메시지 유형의 소구력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호혜적/공감적 소구는 기존에 많이 연구된 이성적/감성적 소구를 돕기라는 주제와 어울리는 형태로 개선, 보완한 대조 대비적 설득 방식이다. 장애인 태도는 장애인을 편견 없이 동등한 권리와 자유를 향유하는 존재로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15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장애인 돕기를 촉구하는 설득 메시지를 보여주고, 호혜적/공감적 소구유형을 집단 간 변인으로 교차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메시지 태도와 행위 의도에서 상호작용이 도출되었다. 실험 결과, 호혜적 소구는 장애인 태도가 더 우호적인 사람들에게 메시지 태도와 행위 의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적 소구는 장애인 태도의 우호적인 정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돕기 메시지의 전달에는 감성적인 호소가 더 영향력이 크다는 기존 연구의 결과들과 차별적인 것으로 상황에 따라서는 이성적으로 호소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라는 증거를 제시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돕기 메시지와 소구 방식
  2) 호혜적/공감적 소구의 대비
  3) 호혜적/공감적 프레이밍과 장애인 태도의 상호작용
 3. 연구 방법
  1) 실험 설계
  2) 실험 참여자
  3) 실험 자극물
  4) 측정 변인
  5) 실험 절차
 4. 연구 결과
  1) 조작 점검
  2) 가설 1: 장애인 돕기 메시지 태도
  3) 가설 2: 장애인 돕기를 위한 행위 의도
 5. 결론 및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이승조 Seung-Jo Lee.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