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LID시설에 적용된 식물의 염분 저항성 및 효과 평가

원문정보

Assessment of Salt Resistance and Performances of LID Applicable Plants

최혜선, 홍정선, 이소영, 김이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LID facilities treating stormwater runoff, various kinds of plants are applied for water circulation recovery and pollutant reduction. However, rapid changes of soil moisture due to the use of porous media and spread of deicing material during winter season cause slow plant growth that detrimentally leads to many problems including death of plant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alt resistance of plants, its effects on pollutants removal, and water circulation recovery. Eight different kinds of plants applicable to an LID facility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hich were Bridal wreath (Spiraea japonica, S.J), Azalea (Rhododendron indicum, R.I), Dawn Redwood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M.G), Sweet flag (Acorus calamus A.C), Dwarf fan-shape columbine(Aquilegia flabellata, A.F), Pink (Dianthus chinensis, D.C), Pratia pedunculata (Pratia pedunculata, P.B) and Marigold (Tagetes patula, T.P). Woody plants such as S.P, R.I, and M.G appear to have less salt resistance compared to the other herbaceous plants. Specifically, M.G achieved the highest salt resistance among the other woody plants being followed by S.P, and R.I , respectively. For herbaceous plants, T.L and D.C have the higher salt resistances than that of A.C, P.B, and A.F,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influence of salt to most of the plants, TN and TP were reduced more than 60% and the study suggests the M.G showed high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nd provided better water circulation by means of active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due to higher growth.

한국어

LID 시설에는 물순환 회복과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제설제 살포와 식물의 성장둔화로 인한 급격한 토양 함수량 변화는 식물의 고사 등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LID 시설에 적용 가능한 8가지 주요 식물을 선정하여 염분에 대한 저항성과 식물의 성장능력, 오염물질 저감능력 및 물순환회복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에 적용된 식물은 목본류인 조팝나무(S.P), 연산홍(R.I), 메타세콰이어(M.G)와 초본류인 창포(A.C), 하늘매발톱(A.F), 메리골드(T.L), 패랭이(D.C)와 애기별꽃(P.B)이 선정되었다. 식물의성장은 조팝나무(S.P), 연산홍(R.I), 메타세콰이어(M.G)와 같은 목본류가 초본류에 비하여 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에 의한 내성은 목본류에서는 메타세콰이어(M.G)>조팝나무(S.P)>연산홍(R.I) 순으로 나타났으며, 초본류에서는 메리골드(T.L)=패랭이(D.C)>창포(A.C)>애기별꽃(P.B)>하늘매발톱(A.F) 순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식물에서염분에 의한 영향과는 상관없이 TN과 TP 저감효율이 6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세콰이어(M.G)가 높은 성장에 기인한 활발한 광합성과 호흡의 영향으로 높은 오염물질 제거능력과 물순환 능력을 보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염분에 강한 식생 도출을 위한 식물 선정
  2.2 Pilot plant의 설계 및 운영 방법
  2.3 Pilot plant 모니터링 및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월별 식생 성장
  3.2 식생별 오염물질부하량 저감효율 산정
  3.3 물수지 산정
 4.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최혜선 Hyeseon Choi.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홍정선 Jungsun Hong.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소영 Soyung Lee.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이형 Lee-Hyung Kim.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