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브랜드 슬로건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Brand Slogan in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이희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metropolitan governm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ity branding and approaches it relatively strategically, primary local governments of small and medium-sized lack strategic approach and there are little effort and performance compared to interest. This research examined the usage, content, and form of slogan in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analysis result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notation method and organization between slogans in medium-sized cities and small-sized citie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hether they included brands, target audience, perspective, rhyme, key message, regional relevance, brand personality, positioning, city competitiveness index(6P), city competitiveness evaluation, and type. There were many abstract words such as city, happiness and citizen for slogan keywords. The follow-up study will draw an effective result if it compares the environments, characteristics, and strategic positioning of citie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the implications of city branding by examining the brand slogan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한국어

광역자치단체는 도시 브랜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교적 전략적으로 접근하지만 기초자치단체 중소도시의 경우 전략적인 접근이 부족한 형편이다. 관심에 비해 노력과 성과는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소도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슬로건의 사용 현황, 슬로건의 내용, 그리고 형식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규모 도시와 소규모 도시의슬로건은 표기방식과 구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그 밖의 브랜드 포함여부, 목표공중, 인칭, 운율, 키메시지, 지역 관련성, 브랜드 개성, 포지셔닝, 도시경쟁력지수, 도시경쟁력평가 유형에는 차이가 없었다. 슬로건 키워드는 ‘도시’, ‘행복’, ‘시민’과 같은 추상적인 단어가 많았다. 후속연구에서 도시의 환경과 특징, 전략적 포지셔닝을 고려해 비교 분석한다면 실효적인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중소도시의 브랜드 슬로건을 살펴본 본 연구는 해당 도시 브랜딩의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목차

국문초록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이론적 배경
  도시 마케팅과 브랜딩
  도시 브랜드 슬로건 연구
  측정유목 및 분석
 분석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한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희복 Lee, Heebok.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