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의 전통과 혁신 -롭 마셜 감독의 「시카고」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radition of Hollywood Musical Film and It’s Renovation - Focusing on Rob Marshall's film, Chicago -

김외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how the musical film Chicago succeed to the tradition of Hollywood musical film and renovate it. The film was adapted from the stage musical Chicago premiered in 1975 and succeed to the tradition of backstage musical film through making backstage member the heroine of film and coming true her dream at last. The film also succeed to the tradition of integrate musical film through coherence of between narrative and dance. This aspect can be found at the part of crossing editing between fantastic performance and real world. In addition, the film has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using star system just like early musical films, making mirror shots, and succeeding to the method of cinematography invented by Busby Berkeley. Busby Berkeley’s method was frequent moving cameras, mainly using long shots and long takes. On the other hand, the film renovated the tradition of Hollywood musical film through applying various shots and rapid scene exchange, wearing unexpected costumes, exposing women bodies, importing puppet dance and ridiculous clown dance. This renovation is aimed to the taste of contemporary audience.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뮤지컬 영화 「시카고」가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의 전통을 어떻게 계승하고 혁신하였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영화는 1927년과 1942년에 만들어진 두 편의 영화보다는 1975년에 만들어진 무대 뮤지컬의 내러티브를 대폭적으로 수용한 작품이다. 백스테이지 멤버를 주인공으로 삼고 있다는 점, 그 주인공이 끝내 성공하여 공연의 주인공이 된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초기 백스테이지 뮤지컬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뮤지컬 넘버와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넘버와 춤이 내러티브와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는 통합 뮤지컬 영화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공연 장면과 현실 장면의 교차 편집을 통해 더욱 뚜렷해진다. 한편, 이 영화는 초기 뮤지컬 영화와 마찬가지로 스타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음이 특징적이다. 이는 할리우드의 유명 배우를 대거 캐스팅한 것을 통해 드러난다. 촬영 면에서도 이 영화는 버스비 버클리가 확립한 촬영 방법을 원용하였다. 움직이는 카메라를 이용하고 하이 앵글 쇼트를 자주 사용하였고, 롱 쇼트와 롱 테이크로 춤추는 장면의 역동성을 보여 주는 방법을 사용하였던 것이다. 또한 거울 쇼트도 수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반면에, 이 영화가 할리우드의 뮤지컬 영화 전통을 따르지 않고 새로이 도입한 요소로는 다양한 쇼트와 빠른 장면 전환, 과감한 의상이나 여성의 몸에 대한 탐닉, 꼭두각시 인형극 형식의 차용, 우스꽝스러운 광대 춤의 도입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시대의 변화에 따른 관객층의 기호에 부합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목차

Ⅰ. 21세기 뮤지컬 영화 붐의 기폭제
 Ⅱ. 다른 장르로 각색되기 전의 내러티브 원천
 Ⅲ. 뮤지컬 영화 내러티브 전통의 창의적 수용
 Ⅳ. 스타 시스템의 활용과 촬영 기법의 계승
 Ⅴ. 변화를 위한 새로운 요소들의 도입
 Ⅵ.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외곤 Kim, Oe-Gon. 상명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