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actical Arts,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p of teacher who realizes confuse the education field and realizes and teacher who doesn't by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discuss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ex, teaching career, experience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practical arts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 case of factors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importance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Content reduc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content reduc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general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Third, the lower level of perception of practical arts,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한국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가 각 교실에서 충실히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한데,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교사가 혼란스러움을 호소한다면 그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는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해 교육현장이 혼란스럽다고 인식한 교사와 인식하지 않은 교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개인변인, 개정 실과교육과정관련 변인,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변인들의 경우, 교사의 성별, 교직 경력, 실과 연수 경험 등이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현장의 혼란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정 실과교육과정 관련 변인들의 경우, 교과명칭 변경 필요성,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교사 입장),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학생 입장),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학부모 입장), 개정 교육과정에서 내용 축소에 대한 인식, 개정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인식 정도 등이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현장의 혼란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과교과에 대한 인식이 수준이 낮은 교사일수록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에서 혼란스러움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회수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초등교사의 개인적 특성
2.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개정 실과교육과정
3.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교육현장 혼란스러움 인식과 관련하여 개인특성,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인식 변인간의 관계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