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64 다중채널 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환자고정자 재질에 대한 영상평가

원문정보

Image Evaluation for A Kind of Patient Fixing Pad in 64 Multi-Channel Detector Computed Tomograph

김기복, 구은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nten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image based on the orbit and basal ganglia with high radiosensitivity for the noise, SNR and dose using the five kinds patient fixing pad in brain phantom MDCT(Brilliance™ CT 64 slice, PHILIPS, Netherward). The noise had a higher values in AP than those of others, but the SNR was lower in AP than those of others. The SNR was higher in UP than those of RP, PP, SP and AP. The UP, RP and PP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whereas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P, RP, PP and SP, AP(p<0.05). This is causes of the noise difference is generated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radiation absorption dose in accordance with each the component of the absorbed dose level of the detector according to the reference line and each of SOML when the radiation exposured. The CTDIvol(mGy) and DLP of orbit and basal ganglia were 56.95, 911.50, respectivel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oth mean dose.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mong a kind of 5 patient fixing pad by using brain phantom MDCT. Overall, patient fixing pad of UP, RP and PP based on a brain phantom MDC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한국어

본 실험의 목적은 두부 팬텀 MDCT에서 5 종류의 환자고정자 패드를 이용하여 노이즈, 신호대 잡음비, 선량에 대하여 방사선감수성이 민감한 안와 와 기저핵 부위를 기준으로 영상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영상의 노이즈는 AP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호대 잡음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자고정자 재료 5(UP, RP, PP SP, AP) 종류 중 신호대 잡음비가 가장 높은 것은 UP 이었지만 RP, PP와 더불어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p>0.05), UP, RP, PP와 SP, AP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이러한 원인은 방사선을 입사했을 때 SOML의 기준선에 따른 검출기의 흡수선량정도와 각각의 재질의 성분에 따라 방사선 흡수선량이 다르기 때문에 노이즈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안와 기저핵의 CTDIvol(mGy)와 DLP 값은 각각 56.95, 911.50로 환자고정자 재료에 따라 선량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5 종류의 환자고정자 패드는 각각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었으며 SP, AP 보다 UP, RP, PP 사용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대상 및 방법
  2.1 실험 기기 및 재료
  2.2 실험방법
  2.3 통계분석(Statistical analysis)
 3. 실험결과
  3.1 노이즈 분석
  3.2 신호대 잡음비 분석
  3.3 선량 평가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기복 Kee-Bok Kim.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구은회 Eun-Hoe Goo. 청주대학교 방사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