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목회자의 소명/사명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

원문정보

A Biblical-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astoral Calling in the Light of the New Testament Fulfillment

류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cept of “pastoral calling”, which in other words means to be “called to ministry”, inherently includes the idea of God’s calling. The problem is: is this divine calling a particular or universal one? Which of these callings does being called to ministry fall under? The issue of pastoral calling is also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issue of the pastor’s identity. What is a pastor? Is the pastor the same as the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or the disciples of the New Testament Gospels? This article aim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way of seeking a biblical-theological understanding of pastoral calling and pastor’s identity. First, in regards to identity, it will examine the fact that the pastor’s identity is not the same as the one of prophets in the Old Testament nor to Jesus’ disciples in the New Testament gospels. This claim is mad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Old Testament as eschatological prophecy and the New Testament as eschatological fulfillment. More specifically, the Old Testament is built upon particularity, showing God working through specific peoples such as the prophets. The New Testament, in contrast, focuses upon universality shown by the eschatological workings of the Holy Spirit in the person of Jesus Christ through which God bestows the gospel to all. All believers in the New Testament are called to this gospel and the twelve disciples are representatives of all believers. In this way, the pastor cannot be said to hold the same position as the Old Testament prophets or the twelve disciples in the New Testament. Second, this article will focus on ‘calling’ as being part of a general call from God, rather than it being something specially given to those called into ministry. In other words, pastoral calling is part of a general call to all believers in the Christian church, to the gospel of God’s eschatological rule arrived in Jesus Christ. However, pastoral calling is distinct from other callings in that the pastor shepherds the church and believers. Pastoral calling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callings by its shepherding function. Therefore, it begs the question of how pastoral calling is different from another calling, which this paper will also deal with.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pastoral calling be understood in terms of God’s eschatological gift(Eph. 4:11) and dedication (John 21:15 ff.). Such dedication can also be expressed in terms of one’s love towards Jesus (John 21:15 ff.) In the gospel of John, to love Christ is to love the one who is the manifestation of God’s sublime self-sacrificial love, i.e. God’s grace and truth, the one who is abundantly filled with the glory of God. And such love of Christ is also to reject what there is to boast in this life—this world, the desires of the flesh, the lust of the eyes, and the boasting of worldly possessions (1 John 2:15-17). This is the proof that one is filled with the love of God the Father. As such, pastoral calling is best understood by the view of whether the pastor loves Christ, and thus rejects the desires for the world.

한국어

목회소명(pastoral calling)은 하나님에 의해 목회사역에 부름을 받았다(called by God to the ministry)는 뜻이다. 문제는 목회소명만이 유일한 소명인가 하는 점이다. 또한 목회소명의 문제는 목회자의 정체성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목회자는 누구인가? 목회자는 구약의 선지자들이나 신약의 제자들 혹은 사도와 같은 인물인가? 본 글은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목회자의 정체성과 목회소명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를 추구하고자 한다. 첫째로 목회자의 정체성은 구약의 선지자들이나 신약 복음서의 예수의 제자들의 신분과 동일하지 않음을 살펴본다. 이 점은 구약의 종말론적인 예언이라는 특성과 신약의 종말론적인 성취라는 특성에 천착한다. 특별히 구약은 하나님이 선지자와 같은 특정한 사람들을 통해 역사했다는 특정성(particularity)을 지니며, 신약은 하나님이 예수의 종말론적인 성령의 역사를 통해 복음이 보편적으로 시혜된다는 보편성(universality)을 지닌다는 점에 주목한다. 신약의 모든 성도들은 이 복음에 부름을 받은 자들이며 예수의 제자들은 이러한 성도들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는 자들이다. 이런 점에서 목회자는 구약의 선지자들이나 신약의 예수의 열두 제자들이나 사도들과 신분상 같다고 할 수 없다. 둘째로 소명에 관해서는 목회자의 소명은 하나님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일한 부르심이 아니라 다양한 특정한 사역을 위해 하나님이 부르시는 다양한 부르심/소명들의 일환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모든 성도가 동일하게 하나님의 복음에 초청된 자들이기에 복음에로의 초청이라는 점에서는 성도들과 목회자의 부르심이 동일하다. 그러나 목회자들은 교회와 성도들을 목양한다는 역할을 감당한다는 점에서 목회자의 소명과 다른 일반 소명들은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목회소명은 목양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소명들과 구별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목양이라는 측면에서 목회소명이 일반적인 소명과 어떻게 구별되는가를 살피는 것이 요청된다. 목회소명을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은사(엡4:11)와 헌신(요21:15이하)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것을 결론적으로 제안한다. 이 헌신은 예수에 대한 사랑으로 표현할 수 있다(요21:15이하에서). 요한복음에서 예수에 대한 사랑은 하나님의 지고한 자기-희생적 사랑 곧 하나님의 은혜와 진리의 현현이시며 하나님의 영광으로 충만하신 예수를 사랑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의미의 예수에 대한 사랑은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 그리고 이생의 자랑으로 대변되는 세상을 사랑하지 않는 것이다(요일2:15-17). 이것은 곧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가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렇다면 목회자의 소명은 목회자가 예수를 사랑하는가 곧 세상을 사랑하지 않는가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목회 소명에 관하여
 III. 구약의 선지자들의 소명과 예언 선포의 성격
 IV. 구약 예언의 성취로서의 신약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V. 복음 선포를 위해 그리고 복음을 따라 살도록 부름 받은 자들을 대변하는 제자들
 VI. 그리스도의 종말론적인 은사의 일환으로서의 목회소명
 VII. 헌신(commitment)과 천직(vocation)으로서의 목회 소명
 VI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호영 Ryou, Ho-Young.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신약 신학, 설교와 성경해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