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미 섬유류 수출촉진을 위한 한ㆍ미 FTA의 활용 방안

원문정보

The Application Plan of KOREA-US FTA to Forster Exports of Textiles and Apparel to USA

이석동, 이춘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strict product specific rule(PSR) of origin, as signified in ‘yarn forward’ and on article 4.3 of Korea-US Free Trade Agreement(KOR·US FTA) which deals with the customs cooperation in textiles and apparel, it has become easier for US to verify the country of origin when annual information on Korean textile manufacturers, importer’s manufacturer’ identification(MID) and exporter’s affidavit(M/A) are provided. Thus strict PSR and systematic origin verification of USA. give Korean exporters huge burden. In this study, chapter 4 of KOR·US FTA on textiles and apparel is analyzed in order to discuss issues and give insights on country of origin verifica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extile manufacturers, offshore procurement of raw materials that are in short supply and delays in discussion on outward processing in Korean peninsular. To do this job, the data documents are used like publications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World Trade Organization(WTO) and United Nations(UN) and on Korean sources including Korea Customs Service(KCS),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KITA), Korea Institute of Origin Information(KIOI) and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KFTI). The study calls for revision of mandatory unilateral information provision on textile manufacturers to the US. Typically illogical problem in KORES-US FTA, textile agreement should be discussed through the State party consultation like 'committee on Textile and Apparel Trade Matters' as stipulated in the agreement, at the same time needs to be established new export strategy. The textile industry be required Industry's self-help efforts and continuous government support because of great importance within the industry.

한국어

한·미 FTA 협정의 섬유·의류 부분은 yarn forward로 대표되는 엄격한 원산지결정기준과 협정문 제4.3조(섬유 또는 의류상품에 대한 세관협력)에 근거한 우리나라 섬유생산 시설에 대한 일방적 연례 정보제공, 미국 내 통관 시 수입자의 제조자식별코드(MID) 제출 및 검증 시 수출자의 제조자진술서(M/A) 제출로 미국 측에서 보면 섬유류에 대한 원산지 검증이 상당히 용이해졌다. 한·미 FTA의 엄격한 원산지기준과 체계적인 원산지검증은 수출자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섬유류 수출현황을 분석하고 협정문 제4장(섬유 및 의류)의 내용을 심층 분석하여 섬유류에 대한 원산지 검증 방법, 섬유류 생산시설 정보제공, 공급부족 원료의 역외조달 및 한반도 역외가공 허용 논의 지연 등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미 FTA 협정문과 WTO와 UN 등 국제기구와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국제원산지정보원, 한국섬유산업연합회 등의 문헌자료를 활용하였다. 한·미 FTA의 대표적 불합리 사례인 섬유 생산시설 정보제공은 우리나라 섬유류 수출자의 의무사항으로 섬유산업 전반에 대한 정보를 매년 미국 측에 일방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향후 협정에서 정한 ‘섬유 및 의류 무역 사안에 관한 위원회’를 통한 개선책 마련과 업계의 자구노력 및 새로운 수출전략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우리나라 섬유류 수출 현황
 III. 한·미 FTA 협정문 분석
 IV. 대미 섬유류 수출 촉진방안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석동 LEE, Suk-Dong. 부경대학교 대학원 경영컨설팅협동 박사과정
  • 이춘수 LEE, Chun-Su. 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