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coustic analysis on Japanese plosive consonant according to the phonetic environments ─ From the plosive consonant of the first and second syllable ─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acoustic and phonet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losive consonant according to place of articulation. Japanese is a pitch accent language. This paper analyze acoustic and phonetic effect of the voiced plosive consonants ([ba], [da], [ga]) and the unvoiced plosive consonants ([pa], [ta], [ka]) occurred in the first or second syllable of the unaccented 4-mora word spoken by Tokyo dialectal speecher. We especially investigate the voiced and unvoiced plosive consonants under the three conditions which are after a vowel, after a double consonant, and after a nasal occurrence in the second syllable through acoustical point of view. For the plosive consonant, we estimate the voiced onset time, the duration time of close, and the pitch and intensity within the follow-up vowel. This paper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verage pitch of unvoiced plosive consonant from start point of follow-up vowel has usually higher value in the first syllable than in the second one. Second, voiced onset time under the voiced plosive consonant is measured as minus voiced onset time while vibrating vocal cord before opening of articulator without the relation of articulation point. In the second syllable, specifically, it has rapidly start under condition of the proceeding vowel. Third, the duration time of close under the unvoiced plosive consonant is longer than voiced one to give air pressure. Also in the experiments, we confirm that the plosive consonant in the second syllable after double consonant shows the longest duration time of close. Last, the result of intensity of the follow-up vowel for the plosive consonant shows that the second syllable has higher value than the first one. And then the intensity of the follow-up vowel on the second syllable of the plosive consonant is not influenced by the proceeding phonetic environments. From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losive consonant according to place of articulation in the meaningful words, the pitch and the voiced onset time of the plosive consonant in the first syllable had a higher and longer value than in the second one. We also known that the unvoiced consonant had higher and longer value than voiced one without relation to articulation point. For the next subject, we will investigate the acoustic effects of the plosive consonant within the conversational speech and sentence.
한국어
본 논문은 조음 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특징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일본어는 고저악센트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동경방언화자가 발화한 평판형 악센트 4박어의 어두 및 어중에 나타나는 유성파열음([ba], [da], [ɡa])과 무성파열음([pa], [ta], [ka])의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어중 파열음의 경우 음성 환경에 따른 파열음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모음, 중자음의 전반부, 발음(ん) 뒤에 유성파열음과 무성파열음이 오는 실험어로 선정하였다. 분석 항목은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기본주파수, 성대 진동 개시시간, 폐쇄지속시간 및 강도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후행 모음 시작점의 기본주파수은 무성파열음의 경우 어두의 파열음이 어중파열음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유성파열음의 경우에서는 발음(ん) 뒤에 오는 파열음의 후속 모음의 기본주파수가 어두 파열음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대 진동 개시시간의 경우에는 유성 파열음은 조음점과 상관없이 조음기관이 개방되기 전부터 성대 진동이 시작되어 마이너스의 성대 진동 개시시간 값을 보였다. 특히 어중의 경우, 모음 뒤의 환경에서 성대 진동이 먼저 시작됨을 알 수 있었다. 폐쇄지속시간의 경우, 무성 파열음이 유성 파열음보다 긴 폐쇄 지속시간을 보이며, 무성 파열음이 유성 파열음에 비해 파열을 시작할 때 더 많은 압력이 축적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중에 오는 파열음의 경우 중자음의 전반부 뒤의 환경에서 압력을 축적시키기 위한 시간이 다른 환경의 파열음에 비해 많이 소요되었다.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강도를 측정한 결과, 어두보다 어중에서 세기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중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강도는 선행 음성 환경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유의미한 단어 속에서 조음 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특징을 고찰한 결과, 기본주파수와 성대 진동 개시시간은 어두파열음이 어중파열음에서 보다 높고 길게 나타났으며, 조음위치에 관계없이 무성음이 유성음보다 유의하게 높거나 길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문장 및 대화체 속에서의 파열음의 음향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과제로 남겨둔다.
일본어
本研究では、調音位置による日本語の破裂音の特徴を音響音声学的に分析した。日本語は高低アクセント体系であるが、本研究では日本語東京方言話者が発音した平板型アクセントの4拍語の語頭や語中に現れる有声破裂音([ba]、[da]、[ga])と無声破裂音([pa]、[ta]、[ka])について、音響音声学的分析を行った。特に語中破裂音について、音声環境による破裂音の特徴を分析するために、母音、促音、鼻音の後ろに有声破裂音と無声破裂音が来る単語を選定した。分析項目は破裂音に後続する母音のピッチ、声帯振動の開始時間、閉鎖持続時間及び強度である。分析の結果、次のような事実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まず、後行母音始まりのピッチは無声破裂音の場合、語中破裂音に比べて語頭の破裂音が高いことがわかった。一方、有声破裂音では、鼻音の後ろに来る破裂音の後続母音のピッチが語頭破裂音に比べて高いという結果が得られた。 次に、声帯振動の開始時間については、有声の破裂音は調音点とは関係なく、調音器官が開放される前から声帯振動が開始され、マイナスのvoiced onset timeの値が觀測された。特に、語中の場合には、母音後の環境で声帯振動が先に始まることが確認された。 閉鎖持続時間については、有声破裂音に比べて無声破裂音において、破裂が開始する際により多くの圧力が蓄積されているという事実が確認できた。そして、語中の破裂音の場合は、促音後の環境で口腔閉鎖時間が最も長くなるという事実を再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破裂音に後続する母音の強度を測定した結果、語頭より語中で強さが高く表われた。そして、語中破裂音に後続する母音の強度は先行音声環境に大きな影響を受けなかった。 以上、本研究では有意味な単語における調音位置による日本語の破裂音の特徴を考察した。その結果、ピッチは語中破裂音に比べて語頭破裂音で高く、また声帯振動の開始時間についても同様に語頭破裂音の方が長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そして、調音位置に関係なく、有声音と比較して無声音が有意に長いという結果が得られた。このような結果を基に、今後は、文や会話における破裂音の音響的特徴を考察していきたい。
목차
I. 머리말
II.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1. 분석자료
2. 피실험자 및 분석방법
IV.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1. 기본주파수(Pitch)
2. 성대 진동 개시시간(voiced onset time)
3. 폐쇄지속시간(Closure Duration)
4. 강도
V. 맺음말
參考文獻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