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Alien Substances and Monsters in Joseon ─ Sanhaegyeong and Taepyeonggwanggi as sources of imagination ─
조선시대의 이물 및 괴물에 대한 상상력, 그 원천으로서의 『산해경』과 『태평광기』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ources of imagination about unreal worlds during Joseon with a focus on Sanhaegyeong and Taepyeonggwanggi. Showing basic imagination and curiosity about the world, Sanhaegyeong appears as an authentic precedent of mythological imagination including Cheonon, Chokryong, and Alyu in all kinds of anthologies since its introduc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third century. Taepyeonggwanggi contains all the tales and novels about alien substances and worlds since Han Dynasty and also narratives to make ideological judgments of alien substances beyond mythological imagination. Entering Joseon Dynasty following Goryeo, it created a reading fever and served as a window to check unreal worlds. The tales about Gumiho especially show that strange and mysterious Gumiho shed off its sacredness and turned into the symbol of all anxiety and animosity in a patriarchal society.
한국어
본고는 조선시대 비현실적 세계에 대한 상상의 원천에 대해 『산해경』과 『태평광기』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산해경』이 한반도에 유입되어 보편화되고 그로 인해 문인들의 시문집에 보이는 신화적 상상력에 대해 살펴보고, 고려시대 이후 『태평광기』가 열독의 양상을 보이며 조선 문인들의 이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분석해볼 것이다. 주로 세계에 대한 원초적 상상력과 호기심을 보여주는 『산해경』은 3세기 이후 한반도에 전래된 뒤, 각종 문집 속에 천오(天吳), 촉룡(觸龍), 알유(窫窳) 등의 신화적 상상력을 보이는 전고로 등장한다. 『태평광기』는 한나라 이후의 모든 이물(異物) 및 이계(異界)에 대한 설화와 소설을 망라하였기에 신화적 상상력을 넘어 이물에 대한 이념적 판단을 보이는 서사가 포함되어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오면서 『태평광기』독서는 열풍을 보이며 비현실적 세계를 확인하는 창구의 역할을 했는데, 특히 구미호 설화는 신이한 구미호가 신성성을 탈각한 뒤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든 불안과 적대의 상징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
本稿では、朝鮮時代の非現実的世界への想像の源泉について、『山海経』と『太平広記』を中心に調べてみようと思う。世界の原初的想像力と好奇心を見せる『山海経』は3世紀以降、朝鮮半島に伝来した後、各種文集の中に天呉、觸竜、窫窳などの神話的想像力を示す典故として登場する。 『太平広記』は漢以降のすべての異物と異界の説話や小説を網羅していたので、神話的想像力を超えて異物の理念判断を示す叙事が含まれている。高麗時代と朝鮮時代にきて、『太平広記』読書はブームとなり、非現実的世界を確認する窓口役割を果たしたが、特に、九尾狐の物語は神異な九尾狐が神聖性を脱却した後、家父長的社会で、すべての不安と敵対の象徴に変化したことがわかる。
목차
I. 머리말
II. 『산해경』의 유입과 신화적 상상력
III. 『太平廣記』열독과 異物 인식의 변화
IV. 맺음말 : 이물에서 괴물로
參考文獻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