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Writing Critique in KAP Textbooks
초록
영어
In KAP(Korean as Academic Purpose) writing education, academic texts such as theses, critiques are mainly dealt with. These academic argumentative texts are highly difficult to produce since its authors are needed to maintain constant logics and to weave dual complicated structure, i.e, facts and arguments. Especially, critique is mostly aimed to be written in KAP as one of the most crucial text genres because it is required frequently in colleges in forms of reports and argumentative tracts. Accordingly, even though critique is a greatly important genre in KAP writings, previous studies in KAP areas have not examined enough to show how to educate writing of critique and how to design its learning activities, textbooks and materials, etc. This phenomenon is contrary to the case of academic theses which has been deeply investigated in both theory and practice.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education of writing critiques considering its unique genre characteristics. Under this purpose, writing of critiques in many KAP textbooks are analysed in perspectives of its theme, its grammar and expressions,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se series of analysis, specific educational suggestions are made.
한국어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은 진학이나 학위 취득 등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다. 이러한 특수한 학습목적 때문에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는 학문 활동을 하는 데에 필요한 텍스트 장르를 선택하여 연습하게 된다. 특히 학문목적 쓰기 활동에서 강조되는 것이 학위 취득에 필요한 학술논문과 비평 등의 학술적 설득 텍스트다. 특히 비평 장르는 학문 활동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를 함양시켜 줄 뿐만 아니라 대학교육 이수과정에서 보고서·서평 등의 과제로 빈번히 부여되며 성적과 직결된다는 중요성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비평교육을 다룬 연구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는 같은 학술적 설득 텍스트인 학술논문의 경우, 그 텍스트 장르적 속성과 함께 광범위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연구가 이루어진 것과 크게 대조적이다. 학문목적 한국어학습자들이 생산한 대부분의 비평문들이 대상작품을 분석하거나 비판하지 못하고 작품내용을 요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선행 연구결과도 학문목적 한국어 비평 쓰기교육과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잘 보여주는 현상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을 위한 학문목적 쓰기에서 비평 쓰기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교재분석을 통해 점검해 보고, 이를 토대로 학문목적 비평 쓰기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교재분석의 방법론을 취한 이유는 교육목표·교육내용·교육방법·교육평가 등 언어교육의 총체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교재’이기에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제안될 수 있다면 쓰기교육에 전방위적인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목차
1. 서론
2. 학문목적 한국어 교재의 비평 쓰기에 대한 분석결과
3.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에서의 바람직한 비평 교육의 방향과 예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